프로그램캘린더

공연안내 프로그램캘린더
자랑스런 우리의 직지여, 영원하라(1) 내용, 파일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자랑스런 우리의 직지여, 영원하라(1)
내용 "손에 땀이 나고 머리카락이 서는 듯했습니다. 한 10여 분간 멍하니 바라보기 만 했었던 것 같습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첫 순간의
조바심이 이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조선 말 기 고종 때 이 땅을 떠나 프랑스에 가 있는 직지를 만나보려는 시도는 난관의 연속이었다.
프랑스가 까다롭게 요구하는 형식 절차는 갖췄으나, 과연 만나보 게 할 것인가. 만난다면 어떤 방법으로 만나게 될 것인가, 직접 만져보게는 할
것인가…. 90년대 초, 직지에는 손을 대지도 못하게 하며 젓가락으로 책장을 넘기게 했던 것과 달리 이번엔 손으로 직접 직지를 만지도록
'허락'했단다. 떨리는 손으로 직지 한 쪽 한 쪽을 넘기던 순간의 감회가 새로운 듯 청주고인쇄박물관 학예연 구사 이승철(38) 박사는 지난
10월 22일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의 직지 열람 을 이렇게 회상했다. 독일은 물론 유럽 문명이 자랑하는 금속활자본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78년
먼 저 찍어낸 인류역사상 최고(最古)의 금속활자 인쇄물 직지는 유네스코 세계기 록유산에 등재된 인류의 빼어난 문화유산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 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의 약칭이요, 애칭이다. 통상 '직지심체요절'로 부르는 이 위대한 인류 유산이 이
땅에 있지 않음은 익 히 아는 사실이다. 맹렬한 고서 수집가였던 프랑스 대리공사 꼴랭 드 쁠랑시가 저잣거리에서 수집하여 프랑스로 건너간 우리의
수많은 고서적 중 하나인 직 지. 책의 내용 때문이 아니라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이라는 문화 사적 위치 때문에 매우 소중한
책이다.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약탈해간 강화도 외규장각 도서와 경위는 다르지만, 문 화재의 개념 정립이 없었던 시절에 대리공사라는 공직자의
신분으로 주재국의 중요한 문화재를 헐값에 사들여 자국으로 반출했으니 그것은 '강탈'이다. 사리 판단 능력이 결여된 자와의 법률행위가 무효인
것은 예나 지금이나 법 정신의 기본이다. 하지만 그렇게라도 보관되지 않았다면 이 소중한 직지가 저잣거리 좌판에서 흐 지부지 사라졌을지도 모를
일이니 그것으로 위안을 삼는다고나 할까. 그후 소 장자가 바뀌었다가 프랑스 정부에 기증됐다. 지금은 프랑스 국립도서관 2층 동 양문화실에
귀중히 보관되어 있다. 직지는 프랑스 최고(最高)의 국가 보물 중 하나이다. 기록문화는 문화발달의 척도 디지털 인프라가 온 천지를 휘감은
오늘날에도 한 국가의 종이 소비량은 그 나 라 문화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다. 종이를 많이 사용함은 무언가 기록할 것이 많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자연히 인쇄술은 문화수준 척도의 백미이다. 타임지에서 지난 천년간 인류가 이뤄낸 위대한 업적을 선정하며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인쇄술을 제 1위에 놓았던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그 구텐베 르크의 성서가 인쇄될 즈음 이미 한반도 고려에서는 금속활자 인쇄가 신기한
일이 아니었다. 종이의 최초 발명국으로 중국을 인정한 것에도 자존심 상해하던 유럽문명이 최 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동양의 작은 나라
'고려'에 넘겨주기란 더욱 속 쓰린 일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직지 마지막 면에 선명히 적힌 인쇄 시기, 인쇄 장소, 인쇄 방법에 이견을 달
재주는 없었다. 그런 위대한 문화사의 현장인 흥덕사의 위치를 찾는 것은 국사학계의 오랜 숙 원이요, 과제였다. 흥덕사의 오랜 베일이 벗겨진
것은 1984년. 택지조성 공사 중에 드러난 유적지를 발굴하면서 흥덕사의 명문이 새겨진 청동제 금구(禁口) 가 발견되며 그토록 찾아 헤매던
직지 마지막 장에 쓰여진 '청주목 흥덕사'의 터가 드러난 것이다.
파일 20060602025518935.jpg20060602025518935.jpg 바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