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이야기

청주이야기

대[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사진1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

  • 위치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 요약정보 보물 1963.01.21
소개 충청남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소재 비암사 극락보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의 정상부에서 1960년에 발견된 것이다. 중국의 경우 반가사유상을 단독으로 표현한 비상은 그 유례를 찾을 수 없고, 또 수나라(隨代) 이후에는 그 조성이 현저히 줄어드는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이 비상과 같이 통일신라 초기에도 단독불로서 계속 조성되고 있어 백제가 멸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에 그 영역에서 조성된 이들 석상은 백제의 석조미술 수준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좋은 예이다. 이 석상은 사방을 얕은 돋을새김으로 조각하였는데, 앞면에는 가운데가 연꽃으로 분할된 기둥을 모서리에 새겨 감실을 만든 뒤 그 속에 상체를 벗고 있는 반가사유상을 약간 비스듬히 묘사하였다. 반가사유상의 몸통과 팔, 다리는 홀쭉하게 원통형으로 묘사하였고, 특히 왼 발목을 잡고 있는 왼팔은 관절의 표현 없이 곡선으로 뻗어 있어 부자연스럽다. 양 측면에는 정면을 향해 보주를 받든 보살입상을 표현하였는데, 이러한 보주를 받든 보살입상은 관음보살을 그리는 형식이 아직 이루어지기 전에 백제에서 창안된 방식으로 밝혀진 바 있다. 뒷면은 앞면과는 달리 위를 향해 곡면을 이루며 여기에 전면 가득히 보탑(寶塔)을 크게 새겼는데 이 보탑으로 보아서 정면의 반가상이 미륵보살을 형상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석상은 높이 40cm로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만들어진 것이며, 삼국통일 직후부터 고려 초기 사이의 고대조각사를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현재 충청북도 청주시, 국립청주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의 보살상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