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커뮤니티
  • 보도자료

보도자료

  • 커뮤니티
  • 보도자료
[한국문헌사의 쟁점 - (7-2)복원품을 보는 눈] ‘엉터리 복원’ 우수문화재 망신 내용, 파일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한국문헌사의 쟁점 - (7-2)복원품을 보는 눈] ‘엉터리 복원’ 우수문화재 망신
내용 96년에 복원된 ‘직지’ 하권은 활자의 배열 상태가 원본과 너무 똑같아 의심을 불러일으킨다. 현재 ‘직지’ 원본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있고
우리 정부는 연구 를 위해 원본을 복사하는 방식으로 복제본을 만들어 각 대학 도서관 등에 보급 했다. 따라서 ‘직지’를 복원한다는 의미는
활자를 만들어 조판한 뒤 또 다른 ‘직 지’를 찍어낸다는 뜻인데 아무리 장인의 기술이 뛰어나도 새로 조판해 찍은 책 이 원본과 똑같을 수는
없다. 활자간 거리,각도,먹색의 농담 등은 달라야 마땅 하다. 복원 과정을 공개해 ‘원본을 복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풀어야 한다. 더욱
어처구니 없는 것은 청주 고인쇄박물관의 조선 초기 활자판 복원품이다. 활자판을 복원하면서 제작 과정이 복잡하다는 이유로 활자를 한자씩 만들어
조 판하지 않고 한줄씩 조판했다. 여러차례 이를 문제 삼자 활자판을 뜯어내 하나 씩 잘랐는데 이 과정에서 활자가 마모돼 아귀가 맞지 않게
됐다. ◇지금이라도 고치자 왜 엉터리 복원이 횡행하는 것일까. 우선 부족한 정부 지원 때문이다. 중요무형 문화재 대부분이 생계도 어려운
상황이다. 적절한 지원 없이 옛 기술을 자긍심 만으로 유지하는 건 힘들다. 부실한 관리 책임 역시 면할 수 없다. 중요무형문 화재의 선정
과정부터 인맥과 편법이 작용해 엉뚱한 이가 무형문화재가 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기능이 떨어지는 이가 선정되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실제 복원
작업은 하청업체가 맡아 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옛 방법을 그대로 재현한,치밀한 복원은 불가능해진다. 결과만 그럴싸하게
비슷해 선 공예품은 될 수 있을 망정 복원품은 아니다. 정부는 우선 중요무형문화재 선정 과정을 투명하게 바꿔야 한다. 객관적 검증 절차를
만들어 최고 수준의 기능인을 가려내는 게 급선무다. 또 선정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리,감독해야 한다. 복원 절차는 공개하고 복원품은 끊임없이
검 증해야 한다. 충분히 지원하되 결과물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그것 이 정부의 역할이다. 엉터리 복원품은 중요무형문화재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국가적 자존심 의 문제다. 독일의 구텐베르크박물관과 일본 돗반인쇄박물관에 ‘직지’ 하권의 복원품이 전시돼 있다.
이외에도 전세계에 우리 문헌 관련 복원품이 다수 나가 있다. 혹 외국 전문가가 불성실한 복원품을 찾아내면 어떻게 할 것인가. 만약 엉터리
복원품을 다시 가져가라고 항의라도 받으면 무슨 망신인가. 어물쩍 넘 어가려다 문화적 후진국으로 지탄받지 말고 잘못된 복원품은 수거해 다시 만들
어야 한다.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않아야 한다. 조형진(강남대 교수)
파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운영사업과
  • 담당자 우민석
  • 전화번호 043-201-426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마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마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