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커뮤니티
  • 보도자료

보도자료

  • 커뮤니티
  • 보도자료
신라때 목간 적외선 촬영..묵서 300여자판독 내용, 파일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신라때 목간 적외선 촬영..묵서 300여자판독
내용 문화재청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선태)는 지금까지 경남 함안군 성산산 성에서 출토된 6세기 중반 신라시대 목간 112점에 대해 적외선사진
촬영을 실 시한 결과 93점에서 묵서(墨書) 약400자를 확인했으며 이중 300여자를 판독했 다고 24일 밝혔다. 목간학자와 금석학자 등
관계전문가들의 두 차례에 걸친 판 독회의 끝에 지명의 경우 고타(古?也·현재의 안동으로 추정됨)와 추문(鄒文· 단양적성비에도 보임) 등
17여개가, 인명의 경우 아나휴지(阿那休智) 등 23명 이 새롭게 확인됐다. 특히 ‘지(智, 知, 只, 支)’로 끝나는 인명이 전체 23개 중
19개여서 신라인명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또 신라의 관등명으로 외위 8·9등급인 ‘일벌(一伐)’과 ‘일척(一尺)’이 조사됐으며
‘패(稗·피)’와 ‘맥(麥·보리)’ 등 곡물명의 묵서가 다량 으로 확인됐다. 특히 ‘패일석(稗一石)’ 등의 묵서가 확인돼 기존에 ‘패’를 곡물
명이 아니라 신라의 외위 10등급인 ‘피일(彼日)’의 이칭으로 보아온 일부 학설 이 재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창원문화재연구소측은 밝혔다. 이밖에
‘노인(奴人)’ 과 ‘촌주(村主)’ 묵서도 확인됐다 최영창기자 ycchoi@munhwa.com
파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운영사업과
  • 담당자 우민석
  • 전화번호 043-201-426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마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마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