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커뮤니티
  • 보도자료

보도자료

  • 커뮤니티
  • 보도자료
한지, 그 천년의 비밀을 뜨는 사람(1) 내용, 파일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한지, 그 천년의 비밀을 뜨는 사람(1)
내용 현존하는 인류 최고(最古)의 인쇄물 1966년 10월, 불국사 석가탑 사리함에서 작은 종이 뭉치가 발견되었다. 폭 8cm 길이 620cm의 긴
종이를 말은 것으로 한지에 목판으로 찍은 '무구정광대 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었다. 이 다라니경은 현존 최고(最古)의 인쇄 물로 습기찬
석탑에서 1200년을 지냈다고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 종이 질을 유 지한 채 발견되었다. 서양문명의 자존심인 쿠텐베르크의 금속활자로 찍은
'42행 성서'는 부식으로 전시조차 불가능한 상태다. 그러나 고려의 종이에 찍은 '직지'는 지금도 책장 을 넘길 수 있으며, 신라의 다라니경은
아직도 전시가 가능한 상태이다. 쿠텐베 르크 성서는 약 550세, 직지는 628세, 다라니경의 나이는 최소 1200세이다. 천년을 사는 한지의
신비로운 비밀의 열쇠는 과연 무엇인가. 우리는 한지를 '창 호지' 정도로 가벼이 불러도 좋은가. 아름다운 '창작 한지' 먹고 살아야 종이도
뜬다. 무조건 전래 방식으로 한지를 뜨라는 것은 한지 업체 들에게 종이 뜨기를 그만두라는 말과 같다. 많은 한지장들이 수지타산이라는 현실에
묶여 변형된 재료와 생산 방식을 따르고 있어 자연히 종이의 질이 떨어 지고 있으며, 저질 저가의 수입 종이도 넘친다. 서울 인사동에선 한 장에
팔백 원부터 이만여원까지의 종이들이 모두 '전통 한지'로 팔린다. 이런 판에도 많은 한지장들이 새로운 기법과 아이디어로 국산이든 수입이든 오
로지 순수하게 닥나무만을 원료로 떠내는 '한지'는 그 예술성에 입을 다물지 못 하게 하는 '작품'들이 많다. 노(老) 한지장들은 지금도
'조으'라는 옛 말을 상용어로 쓴다. '종이'는 많으 나 '조으'는 드문 이 난장판에서 우리의 소중한 재래식 한지 제조 기술은 거의 숨을
거두어가고 있다. 문경골의 한지 뜨기 3개월이 넘게 재래의 방법으로 종이를 뜨는 곳이 있는가 수소문하였다.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 문경한지의
한지장 김삼식(63) 장인은 54년 전 9살 이 후 "스승에게서 배운 고대로만 종이를 뜨는" 사람으로, 기자가 확인한 바로는 가장 전통 방식에
가깝게 종이를 뜨는 사람이다. 특유의 제지 기법이긴 하나, 오로지 이 분만이 전통 한지 제조법을 안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가성소다가 덜
빠진 펄프를 씹었다가 혀를 덴 일도 있었지만 기자가 종이를 구 별하는 가장 확실하고 냉정한 방법은 종이를 먹어보는 것이다. 김 장인의 한지 가
이에 씹히는 첫 순간에 기자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 종이는 이전에 먹 어본 어느 종이와도 달랐다. 질기면서도 부드럽고, 짧은 듯 긴 전통
한지 섬유 의 특질이 그 종이엔 모두 살아 있었다. 유연한 듯 강한 한지의 특질은 우리 민 족성에 비유되기도 한다. 한지만으론 생활이 빠듯해
농사와 한우 치기를 겸하면서도 좀더 편리한 방법, 쉬운 재료에 눈을 돌리지 않고 자기가 스승(고 유영운. 김 장인의 매형)에게서 배운 전래의
방식 그대로 '조으를 뜨는' 그의 고집은 일종의 신념이었다. 닥 펄 프를 뜨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신념을 뜨는 그의 종이가 탁월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파일 20060602025536116.jpg20060602025536116.jpg 바로보기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운영사업과
  • 담당자 우민석
  • 전화번호 043-201-426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마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마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