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공연정보
홈
공연안내
월간공연정보
-
청주문화원 문화고리 정기공연
- 예술의전당(소)
- 2025.10.31(금)
-
2025 씨알누리 정기공연
- 예술의전당(소)
- 2025.10.30(목)
-
청주시립교향악단 브런치 콘서트
- 예술의전당(소)
- 2025.10.29(수)
-
제32회 청주박팔괘전국학생국악대제전
- 예술의전당(소)
- 2025.10.26(일)
-
두 번째 향기의 소리
- 예술의전당(소)
- 2025.10.25(토)
-
제17회 옥음사랑 피아노 정기연주회
- 예술의전당(소)
- 2025.10.24(금)
-
제67회 충북예술제
- 예술의전당(소)
- 2025.10.23(목)
-
제67회 충북예술제
- 예술의전당(소)
- 2025.10.17(금)
-
김지연 피아노 독주회
- 예술의전당(소)
- 2025.10.12(일)
-
광복 80주년 특별 앵콜 공연 <자혜, 그 누구도 아닌>
- 예술의전당(소)
- 2025.10.09(목)
-
피아랑 앙상블 창단정기연주회
- 예술의전당(소)
- 2025.10.04(토)
-
제 9회 project100 정기연주회
- 예술의전당(소)
- 2025.10.03(금)
-
제 9회 project100 정기연주회
- 예술의전당(소)
- 2025.10.03(금)
-
제31회 충북학생국악경연대회
- 예술의전당(소)
- 2025.10.02(목)
-
2025여음콘서트“어울림”
- 예술의전당(소)
- 2025.10.01(수)
-
2025여음콘서트“어울림”
- 예술의전당(소)
- 2025.10.01(수)
-
청주문화원 문화고리 정기공연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31(금)
- 입장료
- 주 최
- 문 의
-
2025 씨알누리 정기공연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험의 양상을 보여주는 음악 작업을 통해 생산한 작품으로 대중과 만나는 공연이다. 한국 전통음악의 어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험과 다른 나라의 여러 가지 악기와 우리 전통의 다양한 타악기의 조우와 협업을 통하여 창작한 음악을 연주하려 한다. 우리 음악과 서양음악, 타악기와 선율악기의 만남을 통해 구체화한 작품들을 관객들에게 선보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전통 창작 음악의 새로운 레퍼토리를 대중들에게 선사할 것이다.-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30(목)
- 입장료
- 주 최 씨알누리
- 문 의
-
청주시립교향악단 브런치 콘서트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29(수)
- 입장료
- 주 최
- 문 의
-
제32회 청주박팔괘전국학생국악대제전
우리나라의 가야금산조와 병창의 거장이자 우리 고장 청주 출신이신 ‘박팔괘’선생을 추모하고, 그의 업적은 재조명하는 한편, 명실공히 국악의 고장으로서의 명성에 걸맞게 문화의 세기를 맞아 전통국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명실상부 종합국악대제전으로서 각 부문에서 우수하고도 참신한 국악 꿈나무 인재 발굴과 더불어 직지의 고장 청주의 홍보 및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에 목적을 둔 전국학생국악대제전.-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26(일)
- 입장료
- 주 최 (사)한국국악협회 청주시지부
- 문 의
-
-
-
제67회 충북예술제
○충북 도내 최고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지역 최대의 종합예술제로 개막공연을 시작으로 충북의 전시, 공연 등으로, 많은 프로그램으로 준비하고 있으며 알찬 준비로 도민의 예술 참여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기여하여 충북예술제로 충북도민의 화합의 장으로 마련하고자 함.-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23(목)
- 입장료
- 주 최 충북예총
- 문 의
-
제67회 충북예술제
○충북 도내 최고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지역 최대의 종합예술제로 개막공연을 시작으로 충북의 전시, 공연 등으로, 많은 프로그램으로 준비하고 있으며 알찬 준비로 도민의 예술 참여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기여하여 충북예술제로 충북도민의 화합의 장으로 마련하고자 함.-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17(금)
- 입장료
- 주 최 충북예총
- 문 의
-
김지연 피아노 독주회
앙상블 피아니스트로써 피아노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피아니스트 김지연의 4번째 올댓피아노(All That Piano) 시리즈로, 이번 주제는 베토벤의 운명의 다단조이다.-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12(일)
- 입장료
- 주 최 피아니스트 김지연
- 문 의
-
광복 80주년 특별 앵콜 공연 <자혜, 그 누구도 아닌>
단재신채호선생의 의열단선언 낭독과 단재신채호의 삶과 사상, 단재 신채호 선생의 부인이며 충북 여성독립운동가 박자혜 선생의 이야기를 재조명하는 연극을 시연하고 더불어 전시실에서는 단재신채호의 수많은 저술 중 명문장을 가시화한 작품전을 동시에 열고자 함-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09(목)
- 입장료
- 주 최 사)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 문 의 0432500180
-
피아랑 앙상블 창단정기연주회
피아랑 앙상블 창단 연주회 피아노와 재즈, 현악기, 관악기로 이루어진 피아랑 앙상블의 창단 연주회로 구성중입니다. 클래식곡과 재즈의 향연으로 곡구성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여러 예술이 접목된, 해설이 있는 연주 진행 방식으로 연주회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곡명은 바로크부터 현대 재즈곡에 이르기까지 전 시대의 곡들을 통하여 감동을 선사하고자 합니다. 클래식부터 재즈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우수한 연주자들로 구성된 피아랑 앙상블은 어떻게 하면 더욱 예술적으로, 친근하게, 획기적으로, 음악을 표현하고 설명할 것인지에 대하여 항상 고민하고 상의하며 나아가는 방향성을 가진 팀입니다. 연주자로서의 바람직한 자세를 잃지 않고 현재의 침체된 청주의 공연 문화를 일으킬만한 에너지 있는 앙상블이라고 자부합니다. 피아랑 앙상블의 첫 발자국이 청주 예술의 전당에서 시작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대관을 신청하는 바입니다.-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04(토)
- 입장료
- 주 최 피아랑 앙상블
- 문 의
-
제 9회 project100 정기연주회
2025 충북문화재단 문화예술지원사업에 선정이 되어 프로젝트백 앙상블팀이 제9회 정기연주회를 공연을 하게 된다. 주제는 오페라의 유령으로 관악앙상블만의 재해석으로 공연할 계획이다.-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03(금)
- 입장료
- 주 최 충북문화재단
- 문 의 010.6860.4531
-
제 9회 project100 정기연주회
2025 충북문화재단 문화예술지원사업에 선정이 되어 프로젝트백 앙상블팀이 제9회 정기연주회를 공연을 하게 된다. 주제는 오페라의 유령으로 관악앙상블만의 재해석으로 공연할 계획이다.-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03(금)
- 입장료
- 주 최 충북문화재단
- 문 의 010.6860.4531
-
제31회 충북학생국악경연대회
-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02(목)
- 입장료
- 주 최 충청북도문화원연합회
- 문 의
-
2025여음콘서트“어울림”
<프로그램> 공연 시놉시스 1. 음악그룹 여음의 자체 창작곡 및 초연곡 연주 2. 음악그룹 여음이 지향하고 추구하는 방향으로 구성한 창작음악, 소리, 타악(북춤,동해안별신굿) 등으로 구성된 창작곡 및 초연곡 등 <6곡>연주. 1.바람의 말 두번째 이야기 (편곡:김혜진) (소리,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징,장구,북) 비나리란 인간살이에 해악을 끼치는 살,액,삼재 등을 물리치고 예방하는 소리이며,액을 막고 액살을 풀어주어 소리를 하는 이들을 비롯하여 모든 이들의 소망과 소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기원의 소리이다. 이번 공연에 선보일 곡은 여음만의 독특한 편곡으로 전통 비나리와 새로운 형식의 국악기(대금,피리,가야금,건반,해금)로 구성된 창작 곡이며 흥과 신명을 끌어올려 주는 사물놀이 와 비나리로 화려한 무대의 시작을 알린다. 2.어울림 셋 ∙ 다섯 (작품구성:정지영,편곡:김혜진) (별신굿장구,쇠&퍼커션,바라,대금,피리,소금,가야금,해금,첼로,신디사이져) 동해안 별신굿은 부산으로부터 강원도에 이르는 동해안 일대에서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 굿이다. 이번무대에는 장구와 징, 꽹과리와 특수타악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 민속 음악의 뿌리라 할 수 있는 무속 음악을 통해 독특한 동해안 별신굿 장단(삼오장,사자풀이,푸너리)을 가지고 전통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새로운 도전으로 피아노의 선율과 국악기(피리,대금,태평소)가 함께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창작 굿 음악이다 3.바램 (작곡:정지영,편곡:김유식) (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장구,모듬북&퍼쿠션,베이스기타) 이번에 선보일 바램 이라는 곡은 작곡자 본인의 타악 인생을 서사적으로 표현한 곡이다. 수많은 어려움과 험난한 일들이 몰려오지만 꿋꿋한 인내심으로 이겨내고 마치 전쟁과도 같은 아수라장에서 승리하고, 더 나은 미래의 나의 모습을 찾아내어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돌아가는 모습을 곡에 담았다. 4.체념(滯念) (작곡:김혜진,작사:김혜진) (소리,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기타,퍼쿠션) 이 곡은 밝은 모습의 가면을 쓰고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느껴지는 공허함과 우울함에 지친 모습이 지난 봄 고요한 어느 늦은 밤 차에서 봤던 꽃잎을 떠올리게 한다. 찰나의 아름다움은 뒤로한채 차에 짓밟혀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꽃잎들은 아름다웠던 짧은 시간만으로도 정말 괜찮은 걸까 괜찮다고 되뇌이는 마음을 담아 쓴 연주 곡 이다. 5.버꾸춤 (북춤:정지영,작곡:김혜진) - 초연곡 (버꾸춤,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쇠,징,장구) 버꾸라는 악기는 크지도 작지도 않은 어중간한 크기여서 “버꾸”라 불리며 다양한 가락과 역동적이며 토속적인 놀이의 움직임과 그 자태의 버슴새가 돋보이는 북놀음이다. 이번 작품에서는 기존에 풍물반주로만 행해지던 틀을 벗어나 선율악기(대금,가야금,피리,첼로,소금,태평소,건반)로 구성된 창작음악에 북 놀음을 하는 작품이다. 6.염원 (작곡:김혜진) (무용,구음,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장구,모듬북&퍼쿠션) 국악 특유의 한과 느낌을 살려 “영혼”들이 구천을 떠돌지 않고, 좋은 곳으로 떠날 수 있는 마음을 담은 연주곡이다. 이번 곡 에서는 각 악기가 가지고 있는 한서린 국악기의 선율과 구음, 무용수의 몸짓으로 한 서린 춤 으로 특징을 살려 음악그룹 여음만의 음악적 감각으로 작품을 구성 하였다.-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01(수)
- 입장료
- 주 최 음악그룹여음
- 문 의 01042654800
-
2025여음콘서트“어울림”
<프로그램> 공연 시놉시스 1. 음악그룹 여음의 자체 창작곡 및 초연곡 연주 2. 음악그룹 여음이 지향하고 추구하는 방향으로 구성한 창작음악, 소리, 타악(북춤,동해안별신굿) 등으로 구성된 창작곡 및 초연곡 등 <6곡>연주. 1.바람의 말 두번째 이야기 (편곡:김혜진) (소리,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징,장구,북) 비나리란 인간살이에 해악을 끼치는 살,액,삼재 등을 물리치고 예방하는 소리이며,액을 막고 액살을 풀어주어 소리를 하는 이들을 비롯하여 모든 이들의 소망과 소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기원의 소리이다. 이번 공연에 선보일 곡은 여음만의 독특한 편곡으로 전통 비나리와 새로운 형식의 국악기(대금,피리,가야금,건반,해금)로 구성된 창작 곡이며 흥과 신명을 끌어올려 주는 사물놀이 와 비나리로 화려한 무대의 시작을 알린다. 2.어울림 셋 ∙ 다섯 (작품구성:정지영,편곡:김혜진) (별신굿장구,쇠&퍼커션,바라,대금,피리,소금,가야금,해금,첼로,신디사이져) 동해안 별신굿은 부산으로부터 강원도에 이르는 동해안 일대에서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 굿이다. 이번무대에는 장구와 징, 꽹과리와 특수타악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 민속 음악의 뿌리라 할 수 있는 무속 음악을 통해 독특한 동해안 별신굿 장단(삼오장,사자풀이,푸너리)을 가지고 전통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새로운 도전으로 피아노의 선율과 국악기(피리,대금,태평소)가 함께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창작 굿 음악이다 3.바램 (작곡:정지영,편곡:김유식) (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장구,모듬북&퍼쿠션,베이스기타) 이번에 선보일 바램 이라는 곡은 작곡자 본인의 타악 인생을 서사적으로 표현한 곡이다. 수많은 어려움과 험난한 일들이 몰려오지만 꿋꿋한 인내심으로 이겨내고 마치 전쟁과도 같은 아수라장에서 승리하고, 더 나은 미래의 나의 모습을 찾아내어 사랑하는 가족들에게 돌아가는 모습을 곡에 담았다. 4.체념(滯念) (작곡:김혜진,작사:김혜진) (소리,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기타,퍼쿠션) 이 곡은 밝은 모습의 가면을 쓰고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느껴지는 공허함과 우울함에 지친 모습이 지난 봄 고요한 어느 늦은 밤 차에서 봤던 꽃잎을 떠올리게 한다. 찰나의 아름다움은 뒤로한채 차에 짓밟혀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꽃잎들은 아름다웠던 짧은 시간만으로도 정말 괜찮은 걸까 괜찮다고 되뇌이는 마음을 담아 쓴 연주 곡 이다. 5.버꾸춤 (북춤:정지영,작곡:김혜진) - 초연곡 (버꾸춤,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쇠,징,장구) 버꾸라는 악기는 크지도 작지도 않은 어중간한 크기여서 “버꾸”라 불리며 다양한 가락과 역동적이며 토속적인 놀이의 움직임과 그 자태의 버슴새가 돋보이는 북놀음이다. 이번 작품에서는 기존에 풍물반주로만 행해지던 틀을 벗어나 선율악기(대금,가야금,피리,첼로,소금,태평소,건반)로 구성된 창작음악에 북 놀음을 하는 작품이다. 6.염원 (작곡:김혜진) (무용,구음,해금,가야금,대금,피리,소금,첼로,신디사이져,장구,모듬북&퍼쿠션) 국악 특유의 한과 느낌을 살려 “영혼”들이 구천을 떠돌지 않고, 좋은 곳으로 떠날 수 있는 마음을 담은 연주곡이다. 이번 곡 에서는 각 악기가 가지고 있는 한서린 국악기의 선율과 구음, 무용수의 몸짓으로 한 서린 춤 으로 특징을 살려 음악그룹 여음만의 음악적 감각으로 작품을 구성 하였다.- 장 소 예술의전당(소)
- 일 시 2025.10.01(수)
- 입장료
- 주 최 음악그룹여음
- 문 의 01042654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