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476
극전선 (polar front)
한류가 난류와 접하는 경계선
근린중심 (neighborhood center)
일단의 근린지의 중심으로써 공동적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시설을 갖춘곳을 말한다.
근해어 (inshore fish)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 연해어 라고도 한다.
글레이즈 (gloval 500)
1978년 세계의 인구가 50억이 넘자, UNEP에서는 세계 각국에서 환경보호에 큰 업적을 세운 환경문제 전문가 500명(1천만명에 1명 비율)을 선출, 그동안의 공로를 수상하고, 그들로 하여금 보다 조직적으로 지구의 환경을 보호하도록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그 조직과 수상자로 피선된 500인을 말함. 한국에서는 박로경, 권숙표, 박창근, 노재식, 노융희, 차철환, 신응배, 최열, 조선일보, 원경선(선출 순)씨 등이 피선되었다
글로브밸브 (globe valve)
스톱 밸브라고도 한다. 나사에 의해 밸브를 밸트 시트에 꽉 눌러 유체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이다. 밸브 내에서 흐름의 방향이 바뀌고, 모두 열렸을 때에도 밸브가 유체속에 있으므로 유체의 에너지손실이 크지만 밸브의 개폐속도는 빠르다.
글리세린 (glycerin)
3가 알코올이다. 비누 제조의 부산물로 다량으로 얻어진다. 무색 무취이고 단맛, 점착성이 있는 흡습성 액체이다
글리코겐 (glycogen)
동물의 생체내에 저장된 탄수화물로 포도당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다당류이다.1857년 프랑스의 C.베르나르가 간에서 발견하였다. 사람의 간에서는 그 건조중량의 약 6%, 근육에는 0.6∼0.7% 정도가 함유되어 있으며, 근육이 운동할 때에 소비된다. 세균이나 곰팡이에서도 볼 수 있다. 간 조직을 으깨어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추출하여 에틸알코올을 가하면 글리코겐이 백색 침전물로서 얻어진다. 글리코겐은 백색 분말로서 맛과 냄새가 없고 물에 잘 녹으나 에틸알코올이나 아세톤에는 녹지 않는다. 요오드를 가하면 갈색 또는 적포도주색을 띤다. 구조는 글루코오스 α-1,4 결합으로 수십 개가 결합한 직쇄(直賊)가 상호간에α-1,6 결합으로 복잡하게 이어진 것이다. 분자 전체는 가지를 많이 친 구상(球狀)으로, 분자량은 수백만에 이른다. 구조가 아밀로펙틴과 유사하나 직쇄 부분이 아밀로펙틴에 비해 짧다. 글리코겐의 생합성에는 글리코겐 합성효소가 작용하여 반응을 촉매시킨다. 이 효소는 우리딘이인산글루코오스(UDP-글루코오스)로부터 글루코오스 1분자를 글리코겐 사슬의 말단으로 운반하며 직쇄 모양으로 연장해 간다. 이때 새로 생기는 글루코시드 결합은 α-1,4 결합이다. 가지를 친 부분, 즉 α-1,6 결합은 별도의 효소인 아밀로-1, 4 →1,6-글리코시드 전달효소의 작용에 의해서 생긴다. 즉, 적당한 위치에서 α-1,4 결합을 절단하고, 새로 생긴 단편을 분자의 다른 부분에 α-1,6-결합으로서 옮겨놓을 뿐이다. 또한 글리코겐은 세포 내에서 포스포릴라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글루코오스-1-인산을 생성한다. 또한 여러 가지 아밀라아제도 글리코겐을 분해한다. 세포의 에너지원이 되는 글루코오스를 안정하면서도 필요할 때 즉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글리코겐의 기능이다. 그 생합성은 세포가 에너지원을 창고에 채워 두는 것과 같고, 분해는 창고에서 꺼내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글리코겐의 생합성과 분해의 속도가 어떻게 조절되고 있는가는 에너지대사의 제어 측면에서 중요시된다
급변화류 (suddenly change stream)
여수로 흐름과 같이 수로의 짧은 구간에서 흐름의 변화가 급격한 흐름
급속여과법 (rapid filtration)
여과법의 일종으로 응집과 침전등의 전처리를 거친 물을 여과제를 위에서 부터 아래로 통과시키는 방법을 말한다.미국에서 개발되었으며 기계여과라고도 한다. 이는 약품침전지를 겸해야 하며, 여과의 속도는 120~150 m/일(日)이다. 사용되는 약품으로는 황산알루미늄과 같은 응집제를 주입한 후 혼화지에서 약품을 혼화시키면 알루미늄의 수화물이 생겨 수중의 점토입자와 세균 등이 상호운동으로 결합되어 미소한 침전물을 만든다. 이것을 침전물 형성지에 도입한 후에 20∼40분간 체류하게 하여 큰 침전물로 응집시켜 침전지에서 3∼4시간 머물게 하면 그 동안에 대부분의 부유물질이 침전하여 제거된다. 약품침전지에서 제거되지 않은 부유물은 다음 단계인 모래여과지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세균류와 미소한 생물은 완속여과법과는 달리 여과수 속에 새어나오게 된다. 이들 생물을 살균하기 위한 제3의 공정으로서 염소소독을 하여야 한다. 전처리(前處理)의 성적에 따라서도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보통 급속여과에서는 1∼2일 동안 계속적으로 여과를 하면 막혀서 여과가 되지 않는다. 이때 위에서 압력수를 이용하여 모래층 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침전물의 막을 파괴함과 동시에 아래쪽에서는 정수를 내뿜어 여과층을 깨끗하게 역류 세척하여 여과의 기능을 회복시킨다. 사용되는 응집제로서는 황산알루미늄 ·폴리염화알루미늄 ·황산철과 염화철 등이 사용되고 보조제로서는 소석회 ·소다회 ·가성소다 ·알긴산나트륨 ·활성규산 등이 사용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약품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탁도를 단시간에 낮춘다. 약품침전지는 보통침전지와 같은 수심 4 m인 콘크리트조인데 침전된 오물(sludge)을 배제하기 위한 집니기(集泥器:sludge collector)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침전지를 2∼3층으로 건조하여 경사판을 설치하고 소형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혼화지와 침전지를 일체로 한 고속 응집침전지가 있는데 관리하기 어렵지만 용지가 적게 소요되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급속여과조작의 자동화가 성행되어 단순한 원리로서 자동급속여과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속여과법은 탁도와 색도가 높아도 정화가 가능하고 용지면적이 적게 들며, 여과의 세정이 기계적으로 자동화되기 때문에 인력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반면에 정화기능이 약품처리의 양부에 의하여 지배되므로 안전성이 적어, 조작관리에 숙련된 인력이 요구된다는 점, 정수의 수질이 완속여과법에 비해 뒤진다는 점, 암모니아 ·취기 ·망간 등의 제거에는 효과가 없다는 점 등의 결점이 있다.
급수전 (hydrant)
급수관의 말단에 설치하는 것으로 수도계량기가 포함된 시설물.
급수조 (feed tank)
일반적으로 급수에 사용되는 수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