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3180 개
- 가정용수여과장치 (household water filter)
- 우물물의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약주기, 제철기, 여과층 등을 조합 한 장치를 말한다. 여과수량은 10-40l/분 인것이 있다.
- 가정폐수 (domestic wastewater)
- 가정또는 유사한 시설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로서, 부엌,화장실,욕실등의 버려진 폐기물이 액상으로 용수에 추가된것.대부분이 유기물질이며, 생활폐수라고 한다.
- 가중계수 (weighting factor)
- 토양의 함수조건을 양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방법으로 선행강수지수를 사용하는데 여기서적용되는 계수가 가중지수이다. Pa=aP0+bP1+cP2 (a+b+c=1) 여기서 a,b,c를 가중계수라 한다.
- 가중인자 (weighting factor)
- 유역의 평균강수량 산출 방법에는 산술평균법,Thiessen의 가중법,등우선법의 3가지로분류 되는데 여기서 Thiessen의 가중법에서 가중인자를 적용한다. 즉 더 무게가 되는 지역을 요소로 잡는다는 뜻이다.잠깐 Thiessen의 가중법에 대해 설명하면 우량계가 유역내에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경우 적용하는 방법으로 각 우량계의 지배면적을 구한후 공식에 적용하여 유역의 평균 강수량을 산출한다.
- 가지야마공식 (gaziyama formula)
- 경험적으로 얻은 단순 홍수량공식으로 우리나라에주로 사용해 왔다.가지야마 공식과 수정가지야마공식이 있다. 가지야마 공식은 1922년 가지야마가 우리나라의 8개 대소 하천의 12개 지점에 대한 최대 홍수량 기록을 사용하여 유역면적의 멱승에다 유로연장 및 최대우량등의 인자를 대표하는 계수를 곱하여 임의유역에 대한 최대홍수량을 구하기위해 제안한 경험공식이다. Qmax=F(310+r)(4+A/L2)A0.877-0.041log10A 여기서 Qmax는 극대 홍수량이며 A는 유역면적(km2) L은 유로연장(km), r은 유역의 최대24시간 평균우량(mm)이며 F는 유역의 경사와 유출능을 대표한는 상수이다
- 가청주파수 (audio frequence)
-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 하한은 16∼20 Hz, 상한은 16∼20 kHz 정도이다. 전자 탐사에서 깊이 1 km 이내의 탐사를 목적으로 할 때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므로 AMT, CSAMT 탐사의 A가 이를 의미한다.모든 소리는 각기 다른 주파수(周波數)와 음파(音波)의 강약의 성질을 띠고 공기 속을 통과하여 전달되어 나가는 현상인데, 이 때의 변위(變位)는 동시에 압력의 변위를 수반하므로 압력변화의 탄성파(彈性波)라고도 할 수 있다. 음원(音源)이 진동하면 기체 속에 그것과 일치하는 진동이 일어나고 압력 변화가 그 기체 속을 전달한다.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의 범위는 20㎐ 이상 2만 ㎐이하 영역의 진동 횟수이고, 소리의 크기는 4~130폰(phon) 정도의 영역이다. 사람이 소리를 들을 때에 그 주파수에 따라 들리는 소리에도 한계가 있는데 소리의 크기에 따른 한계도 있다. 작은 쪽의 한계 값에 해당하는 실효적인 음압(音壓)을 최소가청 값이라 고 한다. 그 값은 주파수에 따라 다른데 500㎐~5000㎐ 범위 안에서는 거의 일정하며 그보다 주파수가 적거나 또 많아도 최소가청 값은 커져서 20㎐ 이하의 초저주파음이나 20㎑ 이상의 소리는 들리지 않게 된다. 대체로 2만 Hz 정도의 주파수를 말하며, 음파뿐만 아니라 전파 등 모든 진동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사람이 소리를 느낄 때 3대요소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크기·높이·음색인데 인간의 귀에 들리는 소리의 크기는 소리 파동의 진동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1㎑의 음압의 레벨은 4㏈ 정도이고 30㎐의 소리에서는 60㏈ 정도가 된다. 따라서 같은 크기로 느끼는 음압의 레벨을 진동수에 연결하면 하나의 곡선이 나타나는데, 이 곡선을 소리크기의 기본으로 삼아 1㎑의 소리크기를 음압의 레벨과 일치시킨 것이 바로 ‘폰’이다. 1㎑에서의 사람들 대부분의 최소한 가청 때의 음압의 평균값은 10㏈ 정도이다. 우리가 큰 소리를 들을 때면 귀가 아픔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런 때의 기준을 최대가청 값이라고 하며 주파수에 관계없이 140㏈ 정도가 된다.
- 가항하천 (navigable river)
- 선박이 항해할수있는 수심과 그의 조건을 구비한 하천
- 가현 멸균 (intermittant)
- 100도씨로 하루에 한번씩 30-60분간 멸균하는 방법 으로, 옛날에는 이방법을 사용했으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 각개통기 (individual vent)
- 위생기구마다 별개의 통기를 행하는 것으로, 트랩의 워터실이 사이편작용과 배압등으로 깨지는 것을 막는다.
- 간극비 (void ratio)
- 흙속의 간극의 체적과 토립자의 체적의 비로서 흙속의 간극의 대소를 보이는 지표.
- 간극수 (interstitial water)
- 지층의 틈이나 공극 내의 물을 말한다.다시말해 토립자 사이의 간극에 존재하는 수분을 말 한다. 간극수는 토립자의 표면에 강하게 달라 붙어 있는 흡착수. 흙속의 미세한 모관상의 간극내에 모관력에 의해 보존되고 있는 모관수 및 비교적 큰 간극 중에 존재하며 그 운동이 중력에 지배되는 중력수의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한편 협의로는 흡착수를 빼고 모관수와 중력수를 간극수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정의에 따르면 포화된 모래에서는 토중수의 대부분이 간극수인 것에 비해 포화점토에서는 이것보다 매우 적다고 추정된다. 간극수는 흙속의 물의 운동, 동상현상, 간극수압의 발생 등 흙의 공학적 성질과 중요한 관계가 있으며, 또한 그 화학적 성질은 점성토의 역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