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195
모드 (mode)
품질관리에서, 대표치를 나타내는 방법중의 하나로 샘플의 도수 분포를 고려할때 도수가 가장 집중되어있는 수치
모디파이드 폭기법 (modified aeration process)
활성오니법의 고율 활성오니법의 하나로서, 최초 침전지를 생략하여 하수를 직접 폭기조로 유입시키고, 오니반송비를 5-10%로 낮게 하여 1.5-2.0 시간 정도의 폭기를 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BOD-SS부하를 표준의 10배 가까이 크게 취하고, 대수 증식기의 오니를 사용한다. 때문에 폭기는 단시간으로서 빠르지만 BOD 제거율은 60-75%정도이고 처리수질은 떨어진다.경제성을 중시한 방법으로서 비교적 농도가 옅은 하수나 중급 처리에 사용된다.
모디파이드에어레이션 (modified aeration)
높은 F/M비와 짧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으로 60-75%의 BOD를 제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활성슬러지 공법의 일종. 폐기시킬 슬러지가 매우 크며, 유출수의 수질이 불량해 점차 사용이 감소되고 있음.
모래 (sand)
10mm 체를 통과하고 ㅣNO.4체를 거의 다 통과하여 NO.200체2∼0.2mm 사이의 모래를 조사(粗砂), 0.2∼0.02mm 사이의 모래를 세사(細砂)라고 한다. 광물조성에 따라 석영이 많은 석영사, 유색 광물이 많은 흑사(黑砂), 회록석이 많은 녹사(綠砂)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성인이나 퇴적장소에 따라 산사(山砂) ·강사(江砂) ·해사(海砂) ·사구사(砂丘砂) ·화산회사(火山灰砂) 등으로 나눈다. 강사는 토목 ·건축 재료로 중요하며, 콘크리트용 모래로는 석영사가 좋다. 모래가 교결하여 암석화한 것이 사암(砂岩)이다. 모래는 실트(silt:0.02∼0.002mm) ·점토(0.002mm 이하)와 함께 토양을 조성하는데, 모래는 점토와는 달리 양분을 보유 ·공급하지 않는다. 반면에 기계적으로 식물을 받치고, 틈이 있으므로 공기나 물이 잘 통과한다. 세토(細土) 중 모래 함량이 85% 이상인 토양을 사토(砂土)라고 하며, 이것은 다시 모래 함량이 90∼95% 이상인 사토와 85∼95%의 양질사토로 나누어지며, 조사가 50% 이상인 것을 조사토(粗砂土) ·조양질사토(粗壤質砂土) 등으로 나눈다. 에 거의 남은 입상상태의 재료로 암석이 자연적으로 붕괴마모되어 생성된 것. 또는 파쇄도기 쉬운 사암을 인공처리 한것.
모래 팽창비 (sand expansion ratio)
역류세척에 의해 상승된 사면 높이와 원사면고와의 차이를 원사면고로 나눈값. 세척 정도를 나타내 준다.
모래무늬 (ripple)
수로 바닥을 지나는 유수로 인해 형성되는 파상의 모래 면.
모래받이 (sand pit)
배수관로의 도중이나 교차점에 설치해 모래를 침전시켜 고이게 하는 장소. 밑면을 배수관의 밑면보다 낮게해 모래가 고일 수 있거나 고인 모래를 준설 할 수 있게 만들어진 것.
모래여과 (sand filter)
모래가 여재로써 사용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여과는 1m 전후 깊이의 모래층이 있으며 몰래의 유효지름 0.2-0.5mm의 것이 보통이며 처리할 물의 성질에 따라서 정해진다. 여과된 물은 지저(池底)에서 배수관을 통해 하부집수장치로 집수된다.
모래여상 (sand filter bed)
모래를 여재로 해서 사용한 여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유효 지름 0.3-0.7mm, 균등계수 2.0이하인 모래를 사용하여, 깊이 1m 전후의 여상을 만든다. 이것에 원수를 침투 흘러내리게 하고 모래층에 여과막을 형성해 부유물질, 콜로이드, 세균, 그 외의 용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여과된 물은 여상 밑부분에 설치된 집수장치에 의해 집수하고 여상 밖으로 보낸다. 모래 여과법으로서 상수도, 공업용수 등에 여러가지 변법 등도 고안된어 사용되고 있다.
모래톱 (sand spit)
하구의 한 안으로부터 토사퇴적이 시작돼 하구를 좁게 만든 것.
모멘트 (moment)
하나의 물체를 어떤 점의 주변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는 힘. 모멘트의 크기는 힘×거리 에 의해 구해지며, 일반적으로 우회전을 + , 좌회전을 - 로 한다. 능률(能率)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물체의 회전운동의 관성은 그 물체의 관성질량뿐만 아니라 회전축에 대한 물체 각부의 질량의 분포상태로 결정되므로, 그 비율을 나타내는 데 관성모멘트라는 특별한 양을 정의한다. 또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회전효과는 힘만이 아니라 회전축과 힘의 작용점과의 거리에도 의존하게 되므로 물체의 회전운동을 논할 때는 흔히 합력(合力)의 모멘트라는 양(量)을 쓴다. 이것은 회전축에서 힘의 작용점에 그은 반지름벡터 r와 힘의 벡터 F의 외적(外積:벡터곱)인[r,F]로 정의되는 벡터량이며, 힘 F 대신 운동량벡터를 취한 것을 운동량의 모멘트 또는각운동량이라고 한다. 이 밖에 자성체(磁性體)의 자화(磁化)의 세기를 나타내는 자기모멘트, 유전체편극의 크기를 나타내는 전기쌍극자모멘트 등 이와 비슷한 물리량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