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250
해안호 (coastal lake)
사주 등에 의하여 바다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 호수.
해양구조물 (marine structure)
해양의 자연환경하에 사용되는 정치식 구조물로 연안구조물(coastal structure)과 해양구조물(off shore structure)로 나누어진다. 또한, 착저식과 부유식으로 나누어지고, 착저식에는 고정형과 중력형이 있고, 부유식에는 부상형, 반잠수형, 잠수형 이 있다. 주로 해양개발에 이용된다.
해양대순환 (general circulation of the ocean)
해수는 다양한 운동을 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보면 해양전체를 순환한다. 대양의 대순환은 메카니즘의 차이에서 표층의 대순환과 심층의 대순환으로 구분된다. 표층의 대순환은 주로 해면에 부는 바람의 응력에 기인하는 해류에 의해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적도양측에서는 바람이 동에서 서쪽으로 불고 있고(무역풍)위도 40°주변에서는 바람이 서에서 동으로 불고 있다(편서풍). 이와같이 대기 순환에 밀접히 관련하여 해양표면의 해류계가 정해진다. 즉 대양의 서측부분에서는 극방향의 완류가 흐르며 고위도해역에서 동쪽을 향한다. 다시 대양동측부분에서는 적도방향으로 흘러가게 되고(비교적 한류) 적도부근에서 서(西)로 향한다. 이러한 해류의 순환계에 의하여 표층중을 열과 염분이 이동한다. 심층대순환은 표층과 달은 메카니즘으로 행한다. 대서양북부표층에서 형성된 저온으로 고밀도해수가 해양심층에 침투하여 그 물이 대서양으로 남하한다. 다시 남극대륙주변 특히 해양에서 형성된 침강수와 합류하여 인도양을 거쳐 태평양으로 흘러간. 이렇게 하여 극히 한정된 해역에서 해양심층에 침수하여 상승류와 함께 전해양의 심층을 순환한다. 이러한 심층순환은 스톤멜(H.Stommel, 1958)에 의해 최초로 한정되었다. 해수중의 영양면류와 탄소 바륨등 생물활동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분포를 표하는 원소는 대서양의 심층에 비하여 태평양의 심층에 풍부하다. 이 현상도 심층순환을 생각하면 설명할 수가 있다.
해양배출 (sea discharge)
폐기물이 해양에 배출되었을 경우 쉽게 분해·확산되는 무독성의 수용성 유기성 폐기물을 일정 해역에 배출할 수 있게 하는 폐기물 해양배출제도가 1988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비교적 해가 없고 육지에서 처리 곤란하며 처리비용 또한 많이 소요되는 폐기물을 적정 처리방법에 따라 지정된 해역에 배출토록 허용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매립지난을 일부 해소하고 연안오염 부하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해양배출이 허용되는 폐기물의 종류는 분뇨 및 정화조 오니, 수산물 가공 잔재물, 폐수 배출시설 중 식음료품 제조시설 및 해산물 판매장에서 발생되는 폐수, 수질오염 방지시설 중 생물학적 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오니, 폐산, 폐알카리(pH 2.0 이하, 12.5 이상) 등이 있으나, 국제해양협력(런던협약)에 따라 1996년 7월 1일부터 폐산 및 폐알카리는 해역배출이 금지됐다.
해양생태계 (marine ecosystem)
오염진행과 함께 해양생태계의 구성자 각기의 현존량이 변화한다. 일본소호내해를 예를 들면 부영양화에 수반하여 플랑크톤과 플랑크톤식성어가 늘고, 반대로 벤도스(저생성물)와 벤도스 실성어가 줄었다. 이것은 플랑크톤이 증가하면 저니(底泥)의 유기물오염이 진행하고 황화물생성 때문에 벤도스가 감소되는 까닭이라 생각된다. 해양생태계는 미량의 오염물질 때문에 변조가 된다. 예로서 세도내해(內海)서 1만톤의 증유가 유실될 사고시에는 과변모조류가 증가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해양생태학 (marine ecology)
해양의 미생물, 플랑크톤, 해조류, 어류 등의 분포. 유기물 생산이나 물질순환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생물의 생식장소에 따라 해양, 하천, 삼림, 초원, 도시 등으로 구분할 때 해양생태학이 이용된다.
해양성기후 (oceanic climate)
해양의 영향을 크게 받는 기후로서 연중 또는 하루중의 기온차가 적으며 비가 잦다.
해양시설 (offshore facility)
해양에 설치한 작물로 사람을 수용하는 구조 또는 물건의 처리, 수 보관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단, 고정시설로서 육지와 사람의 왕래가 되는 것과 주로 육지로부터 유류 또는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육지와 접속하여, 설치한 것은 제외한다. 해양시설은 몰설치 신고를 필요로하고, 해양시설로부터 유(油) 또는 폐기물배출, 소각등은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해양오염 (marine pollution)
해양의 환경오염 현상. 해양오염합동전문가그룹(GESAMP)은 `인간 활동에 의해 직접·간접으로 해양 환경에 들어온 물질 또는 에너지가 생물자원, 인간의 건강 및 수산업 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또 해수 본래의 성질이나 해양 환경의 쾌적도를 손실시키는 경우`를 해양오염으로 정의하고 있다. 육상에서 환경에 방출된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 확산되거나, 직접 외양(外洋)으로 운반되거나, 토양 속에 침투하여 축적되고 하천수에 의해 하구·내만(內灣)·내해(內海)로 옮겨져 연안 해역을 거쳐 외양에 도달한다.
해양온도차발전 (oceanthermal energy conversion)
바다 표층의 온수(20℃ 이상)와 심층냉수(수℃ 가량)와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발전. 새로운 발전방식의 하나로서 미국·프랑스·일본 등에서 개발중이다. 1979년 8월에 하와이섬 케아홀레곶 앞바다에서 깊이 650m의 찬 바닷물을 취수하여 총출력 50㎾의 실험에 성공하였다. 수 100m에서 1000m 가량의 깊은 바닷속 냉수를 긴 파이프를 통해 펌프로 취수하여 표층의 온수를 데우고 증발시킨 작동유체를 냉각한다. 이때의 압력차로 작동유체가 팽창하여 터빈을 회전시킨다. 원리적으로는 화력발전에 수증기를 작동유체로서 터빈을 돌려 발전기로 발전시키는 것과 같다. 온도차가 20℃ 가량으로 작기 때문에 작동유체로는 암모니아나 플론이 쓰인다. 금속이나 반도체에 온도차를 주면 전류가 흐르는 제벡효과를 이용하는 열전기발전과의 결합방식도 구상되고 있다.
해양의 석유오염 (oil pollution of marine)
해양 석유오염은 유조선 밑바닥의 빌지 수(水), 바라스트수(水), 유조침전물, 선박 기관에 쓰인 폐유의 불법투기, 유조선의 충돌 사고에 의한 원유 유출, 해저 유전으로부터의 누유로일어난다. 1989년 3월 미국의 알래스카 주 연안에서 대형유조선 `엑슨발디즈` 호가 좌초되어 원유 약 4천1백만㎘를 유출, 해양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었다. 또한 1991년 2월 페르시아 만 전쟁으로 원유가 유출되어 생태계에 심한 타격을 입힌 바 있다. 우리나라도 1996년 시프린스호 등 유조선의 침몰로 큰 피해를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