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본의 발전

  • 직지와 인쇄문화
  • 인쇄출판의 역사
  • 필사본
  • 필사본의 발전

필사본의 발전

  • 직지와 인쇄문화
  • 인쇄출판의 역사
  • 필사본
  • 필사본의 발전

필사본은 인쇄에 의하지 않고 직접 손으로 글씨를 써서 만든 서적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본(寫本), 수서본(手書本), 서사본(書寫本), 초사본(抄寫本) 등 여러 가지 용어가 있으며 인쇄술이 발달하여 필사본형태의 서적이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서는 원본을 베낀 책이나 서류 등을 이르는 말이 되었다. 필사본은 인쇄술 발명 이전의 출판 형태로 한꺼번에 많은 부수의 동일한 서적이 만들어지지 않는 데에 그 특성이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피루스에다 갈대 펜 ·새 깃털 펜으로 글을 써서 권자본(卷子本, 두루마리)을 만들었으며 수서(手書)를 업으로 하는 사자생(寫字生, scribe)도 있었다. 파피루스에 대신해서 양이나 송아지 등의 가죽이 수서의 재료가 되면서 지금과 같은 서적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책자가 나오고 기독교 문화가 번성하게 된 중세에는 각 수도원에 사자실(寫字室)이 설치되어 성경류를 베껴 쓰는 작업을 했다.

이와 같은 수서는 수사(修士)의 임무로서 각자가 일을 분담해서 매일 일정한 시간 성전의 필사본을 만들었다. 이들은 첫째 사람이 가죽을 다루어 부드럽게 다듬으면, 둘째 사람은 가죽을 경석(輕石)으로 문지르고, 셋째 사람은 여기에 원본을 옮겨 쓰고, 넷째 사람은 두문자(頭文字) 및 장식 그림을 그리고, 다섯째 사람은 세밀화(細密畵)를 그리며, 여섯째 사람은 원본을 보고 교정을 하고, 일곱째 사람은 제본을 하였다.

중국에서 비롯된 제지법이 지중해 연안의 여러 나라에 전해진 후에도 필사본의 출판형식이 이어졌고 활자인쇄본이 나오게 된 후에도 끊이지 않았다. 2세기 초에 제지법을 완성한 중국에서는 그때까지 대나무 등을 재료로 하였던 간책(簡冊)의 원본을 종이에 옮겨 써서 책을 만드는 필사본제작이 성행하였으며, 목판인쇄술이 이루어진 후에도 필사본의 전통은 끊이지 않았다.

우리나라에도 한자의 전래와 함께 필사본에 의한 불경의 출간 등이 이루어졌으나 현존하는 것이 귀하여 자세하지 않고 인쇄술이 발달하기 이전의 저술은 필사본으로 전승되다가 그 후에 다시 인쇄되는 경우가 있었다.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운영사업과
  • 담당자 우민석
  • 전화번호 043-201-426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마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마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