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꿈꾸는 어린이 즐거운 상상! 기분좋은 이곳, 청주시어린이홈페이지

가경동(佳景洞)

청주군 서주내면에 속해 잇던 지역으로 경치가 아름답다고 하여 가경골 또는 가경리라 하였다. 그후 발산리 시동리 홍동 신기리 일부를 병합하여 사주면에 속하였다가 1963년에 청주시로 편입되었다. 1999년 1월 3일 고속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과 함께 택지개발로 신흥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강서동(江西洞)

청주군 서강내 일하면의 지역으로 용이 승천했다는 큰 우물이 있어서 샘미마, 용정(龍井)이라고 하였으며 1914년 중암리(中岩), 석담리(石潭), 봉산리(鳳山), 호암리(虎岩), 반송리(盤松)일부와 주봉리(周峰)일부를 병합 하여 용정리라 하였다가 강서면에 편입되었으며 1983년 2월 청주시로 편입되면서 강서동으로 명칭을 고쳤다.

남촌동(南村洞)

청주군 서강내일상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소래울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남촌이라고 불러왔다. 그후 강서면에 속하였다가 1983년 2월 강서2동으로 편입되었다.

동막동(東幕洞)

동막동은 시의 최남서단에 있으며 본래 청주군 서강내 일하면의 지역으로서 움막을 짓고 살았다해서 동막이라 칭하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룡리(五龍里)와 현암리(玄岩里)일부를 병합하여 동막리 라고 칭하여 강서면에 편입된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 1동에 편입하였다.

문암동(文岩洞)

문암동은 본래 청주군 서강내일상면의 지역으로서 그림바위가 있어서 그림바위, 서암, 또는 문암 이라 하였는데 1914년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주내면의 문암리를 병합하여 문암리라해서 강서면에 편입되었다가 1946년 청주군이 청주시와 청원군으로 나뉠 때 청원군에 속하였다. 그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복대동(福臺洞)

복대동은 본래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으 로서 짐대(솟대)가 서 있었으므로 짐대마루라 하였으나이 말이 변하여 진때마루 또는 복대(福臺=卜大)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죽천리(竹川里), 화진리(華 辰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복대리라하고 사주면에 편입되 었다가 1963년에 청주시에 편입하였다.

봉명동(鳳鳴洞)

봉명동은 본래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 으로서 봉명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덕암리 (德岩里), 주현리(珠峴里), 상리(上里)와 서강내 일상면의 왕 암리(旺岩里)일부를 병합하여 봉합리라 하며 사주면에 편입 했다가 1963년에 청주시로 편입되었다.

비하동(飛下洞)

청주군 서강내 일하면의 지역으로서 피밭이 있었던 골짜기라하여 피앗골, 피하골 또는 비하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도동(道洞), 동양리 (東陽里)와 주봉리(周峯里), 반송리(盤松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비하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후 1983년 2월에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상신동(上新洞)

상신동은 시의 서북부에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일상면의 지역으로서 방죽위에 새로 생겼으므로 상신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상신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서촌동(西村洞)

서촌동은 시의 서부에 있으며 본래 청주군 서강내 일하면 방축리(防築里)의 지역으로서 마을이 동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촌동은 서쪽에 해당되므로 서촌(西村) 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촌리(東村里), 내거리(內巨里)와 신흥리(新興里), 신기리(新基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서촌리라 하여 강서면에 편입된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석곡동(石谷洞)

석곡동은 시의 서남부에 있으며 청주군 남차2면(南次二面)의 지역으로서 석실리(石室里) 아래쪽이 되므로 석실 또는 석곡(石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중석곡(中石谷), 하석곡(下石谷), 공례리 (公禮里), 북리(北里)일부를 병합하여 석곡리라 해서 남이 면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7월 강서면에 편입된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석소동(石所洞)

석소동은 시의 서부에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 이하면의 지역으로서 돌이 많아서 돌세, 돌쇠 또는 석소라 하게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송리 (月松里) 일부를 병합하여 석소리라하여 강내면에 편입되었 다가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송절동(松節洞)

송절동은 시의 서북부에 있으며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으로서 골짜기 속에 절이 있어서 속절이라 하였다가 변하여 송절이 되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정리(신정리), 화계리(화계리)와 서강내일상면의 화계리 일부를 병합하여 송절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송정동(松亭洞)

송정동은 시의 중앙에 있으며,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으로서 소나무 정자가 있었으므로해서 송정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좌귀리 (坐貴里), 외중리(外中里)와 서강내면 일상면의 송정리(松亭里), 왕암리(旺岩里), 복대리(福臺里)의 각 일부와 남주내면의 송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송정리라해서 사주면에 편입되었 다가 1963년 청주시에 편입되었다.

수의동(守儀洞)

수의동은 시의 남서부에 있으며 본래 청주군 서강내 일하면의 지역으로서 절의를 지킨 사람이 많이 났으므로해서 수절(守節), 숫절 또는 수의동(修義洞) 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강상리(綱 常里), 부동(釜洞), 정상리(井上里)를 병합하여 수의리라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에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신대동(新垈洞)

신대동은 시의 서북단에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 일상면의 지역으로서 새로 터를 잡아 마을을 이루었 다고하여 새터 또는 신대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신리(中新里)와 하신리(下新里)를 병합하여 신대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신봉동(新鳳洞)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신담리(新潭里), 상봉리(上鳳里), 하봉리 (下鳳里)의 일부, 운천리(雲川里)의 일부와 북주내면의 사천리 (斜川里)일부를 합하여 신담과 상봉의 이름을 따서 신봉리 라하여 사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에 청주시에 편입 되었다.

신성동(新城洞)

신성동은 시의 서부에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 일상면의 지역으로서 부모성(父母城)을 바라다 보는 새로운 마을이라는 뜻으로 신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신성동이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신전동(薪田洞)

신전동은 시의 남서부에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 일하면의 지역으로서 섶이 많아서 섯배일, 섯밭 또는 신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추동(楸洞), 소정리(蘇亭里), 현암리(玄岩里) 일부를 병합 하여 신전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에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신촌동(新村洞)

신촌동은 시의 서부에 위치하며 청주군 서강내 이하면의 지역으로서 새로 된 마을이므로 새말 또는 신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강내 일하면의 신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촌리라해서 사주면, 강내면에 편입되었고 1987년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운천동(雲泉洞)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으로서 이 곳에 큰 우물이 있어서 구루물 또는 운천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산직리(山直里), 하봉리(下鳳里), 사창리(司倉里)의 각 일부와 북주내면의 외덕리(外德里) 일부를 합하여 운천리(雲泉里)라 하고 사주면에 편입되었 다가 1935년에 다시 청주읍에 편입되었다.

원평동(院坪洞)

원평동은 시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일상면의 지역으로서 원들이 있어서 원들 또는 원평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문암리 일부와 서주내면의 원평리를 병합하여 원평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외북동(外北洞)

외북동은 시의 서북부에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 일상면의 지역으로서 산 북쪽이 되므로 북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남촌과 왕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외북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에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 되었다.

정봉동(丁峯洞)

정봉동은 시의 서북부에 위치하며 청주군 서강내 이하면의 지역으로 지형이 고무래 丁자처럼 생겼다 해서 정봉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학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정봉리라고 해서 강내면에 편입되었고 1987년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지동동(池東洞)

시의 서부에 있으며 청주군 서강내 일상면의 지역으로서 큰 못이 있으므로 못골, 목골 또는 지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원리(東園里), 지서리(池西里)와 신기리, 비하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지동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 후 1983년 2월에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 되었다.

평동(坪洞)

시의 북서부에 위치하며 청주군 서강내 일상면 의 지역으로서 마을이 들판에 있으므로 들말이라고 하였 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강내 일하면의 신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평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향정동(香亭洞)

시의 서부지역에 위치하며 청주군 서강내 일상면의 지역으로서 큰 은행나무 정자가 있어서 은행정 이라 하였는데, 은행정이 변하여 으능정으로 되었다 또 향정이라고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주 내면의 향정리를 병합하여 향정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 된 후 1983년 2월에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화계동(花溪洞)

시의 서부지역에 위치하며, 청주군 서강내 일상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말골, 왕암리, 산기리를 병합하여 화계리라하여 강서면에 편입 된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2동에 편입되었다.

현암동(玄岩洞)

시의 서남단에 위치하며, 청주군 서강내 일하면의 지역으로 앞에 검은 바위가 있어 검배 또는 현암 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락리 (古樂里)와 이교리(泥橋里) 일부를 병합하여 현암리라 해서 강서면에 편입된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 었다.

휴암동(玄岩洞)

시의 서부에 위치하며 청주군 서강내 일면하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동, 은곡, 신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휴암리라해서 강서면에 편입 한 후 1983년 2월 청주시 강서1동에 편입되었다.

오송읍(五松邑)

청주시의 13개 읍면 가운데 하나로서 본래 청주시의 서쪽 미호천 강 바깥쪽이 되므로 서강외 일하면이라 하였다. 면적 40.72㎢, 인구 2만 914명(2011)이다. 서쪽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접하고, 동쪽으로 미호천(美湖川)을 경계로 옥산면(玉山面)·강내면(江內面)에 접한다.

강내면(江內面)

충청북도 청주시 남서부에 있는 강내면은 동쪽으로는 남이면(南二面), 북쪽으로는 옥산면(玉山面), 서쪽으로는 오송읍(五松邑), 남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접하고 있다.

옥산면(玉山面)

우리 옥산면은 청주시 서방에 위치하여 동남은 금강상류인 미호천이 관류하고 북서남으로 천수천이 관통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동쪽으로는 오창과학단지가 위치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오송생명과학단지가 조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