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꿈꾸는 어린이 즐거운 상상! 기분좋은 이곳, 청주시어린이홈페이지

개신동

개신동은 본래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 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리(東里), 백현리(栢峴里)와 신기리(新基里), 화제리(華弟里), 죽천리(竹川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개신리라 하고 사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에 청주시에 편입되어 개신동이 되었다.

모충동

모충동은 화흥리라 하였다. 본래 남주내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교리(越橋里), 화청리(華淸里), 화동리(華東里), 수곡리(秀谷里), 보십리 (甫十里)일부와 서주내면의 화청리를 병합하여 화흥리 (華興里)라하여 사주면에 편입하였다가 1935년에 청주읍에 편입되고 1947년에 이곳에 있는 모충사의 이름을 따서 모충동이라 하였다.

미평동

미평동은 쌀애들 또는 미평이라 하였는데 래 청주군 남주내면의 지역으로서 쌀이 많이 나와서 그렇게 명명되었다. 1914년에 행정구역 폐합으로 두지리 (斗之里), 영호리(永虎里), 가북리(駕北里), 가남리(駕南里), 가중리(加中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미평리라 하고 청주 면에 편입하였다.

분평동

분평동은 본래 청주군 남주내면에 속하 였는데 1914년에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평리(院坪里), 대촌리(臺村里)와 분동(粉洞)일부를 합하여 분동과 원평의 이름을 따서 분평리라 하여 사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에 청주시에 편입되었다.

사직동

사직동은 본래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 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의 폐합에 따라 사창리(司倉里)와 내수동(內水洞)을 합하여 사창리라 하였는데, 1963년에 청주시 확장에 따라 일부를 갈라서 충혼탑이 있는 서공원의 사직산 (社稷山)의 이름을 따서 사직동이라 하였다.

사창동

사창동은 사창 또는 사창리라 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사창이 있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창동은 본래 청주군 서주내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수동(內水洞)을 합하여 사창리라하여 사주면에 편입 되었다가 1963년에 청주시 구역확장에 의하여 청주시에 편입되었다.

산남동

청주군 남주내면의 지역으로서 이 동리가 구룡산(九龍山) 남쪽에 있다하여 산남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산직리(山直里), 신곡리(新谷里), 탑동리 (塔洞里)와 분동리(粉東里) 일부를 합하여 산남리라 하고 사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에 청주시에 편입되었다.

성화동

성화동은 시의 남부에 있으며 청주군 남주내면의 지역으로서 저산성(低山性)산지에 위치하고 있어, 농사가 주가 되고 있어서 농촌(農村)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서리(駕西里)와 서강내일 상면의 농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농촌리라해서 사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에 청주시 성화·개신동에 편입되었고, 1990년 4월 1일 농촌동을 성화동으로 개칭.

수곡동

청주군 남주내면의 지역으로서 산이 쑥 나온 가장자리에 마을이 있어 숙골 또는 수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료산 북쪽이 된다하여 산북리(山北里)라 하여 사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청주 시에 편입되어 수곡동이라 하였다.

장성동

장성동은 시의 남부에 위치하며 청주군 남일면의 지역이었으며 장승이 있어서 장성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점운리(占雲里)와 관평리(官坪里) 를 병합하여 장성리라 한후 1990년 청주시 산·미·분·장동에 편입 되었다.

장암동

시의 남부에 위치하며 청주군 남일하면의 지역으로서 큰바위가 있었다해서 장암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암리(佳岩)와 용평(龍坪), 송산리(松山), 신목리(新木)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장암리라해서 남일면에 편입된 후 1990년 청주시 산· 미·분·장동에 편입되었다.

죽림동

시의 서부에 위치하며 청주군 남차이면의 지역으로 산에 대나무가 많이 있다하여 대산, 죽산 또는 竹林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천리, 석판리 일부와 남주내면의 농촌리 일부, 서강내 일상면의 농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죽림리라고 해서 남이면에 편입 되었다가 1987년 성화, 개신동에 편입되었다.

남이면

황금길의 고장 남이면은 면적 55.36㎢, 38개리로 구성되어 있으면 인구 예로부터 어른을 공경하고 자녀를 사랑하며 서로 돕고 힘을 합쳐 한 가족처럼 살아가는 인정이 넘치는 우리의 고향이다.

현도면

동쪽과 북동쪽으로 문의면(文義面), 북서쪽으로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남서쪽으로 금강(錦江)을 끼고 대전 유성구 구즉동(九則洞)·대덕구 신탄진동(新灘津洞)과 접한다. 면의 대부분 지역이 노년기 지형으로 잔구성 산지가 크게 발달하여 경지가 협소하다. 동부 경계는 구봉산(370m)을 주봉으로 산맥이 달리고 북서쪽은 노고봉(老姑峰:305m)을 중심으로 산지를 형성하며, 평지는 북부지방에 곡저평야가 다소 발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