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3180
프로펠러수차 (propeller water turbin)
반동수차의 일종으로 임펠러가 프로펠러형인 수차. 저낙차(80mdlgk)로 대수량인 경우에 적합하다.
프로포셔널 웨어 (proportional weir)
웨어의 월류수심이 웨어 정부보다 다소 높은 임의의 기준면을 초과하도록 하여 월류유량이 월류수심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도록 고안된 유량 측정 및 조절장치로 웨어 단면의 형태가 곡선부분의 하단부의 일부분이 사각형을 이루어 사각형 단면상단보다 높은 월류수심일 경우 유량이 그에 비례되도록 고안된 웨어를 특히 서트로(Sutro)웨어라고 한다.
프루드수 (Froude number)
무차원의 파라미터이며, 유체가 물체에 작용하는 관성려과 중력과의 비의 평방근으로 나타낸수. 수식에서는 수면의 경우는 유체와 물체의 상대속도를 u, 중력가속도를 g, 물체의 대표적 길이를 l 로 하면 다음식으로 나타낸다. F=u/(gl)0.5 선박의 조파 저항은 F의 제곱에 비례한다. 프루드가 선박의 저항을 추정하는데 저항한 것이기 때문에 F를 프루드수라 이른다. 그리고, 풍압실험에서 사용되는 양으로, 어느 높이에서의 평균풍속의 제곱값을 구조물의대표길이와 중력가속도의 곱으로 나누어 준 무차원 양이다.
프리쿨링 (precooling)
사전냉각으로 매스콘크리트나 댐 콘크리트를 칠때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낮게 하기 위해 치기 전에 미리 골재를 냉각시키거나 물속에 얼음을 넣어 냉각시키는 방법.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으면 균열발생이 우려되므로 칠 때의 온도가 25℃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 기온에 따라 냉수를 사용하는 경우, tube ice 또는 flake ice를 사용하는 경우, 냉풍으로 시멘트와 골재를 냉각시키는 경우 등이 있다.
플라이 애쉬의 정수 작용 (water furification action of fly ash)
미국 미시건 주의 케이소 폴리스 근처에 있는 소톤호에서 플라이 애쉬에 의한 호수 물의 정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함. ① 5∼6ppm함유되었던 인이 1ppm으로 감소. ② 30ppm이었던 COD가 5ppm으로 감소. ③ 색이 50표준액 단위였으나 5단위로 감소. 플라이 애쉬에는 가용성 석회와 석고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것이 호수 중의 오염물을 침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함.
플랑크톤 (plankton)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이 있음.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는 모든 현미경적 식물이며, 염조류, 녹조류, 규조류, 유색소 편모충류 등 4군이 있음. 이들은 일광에 의해서 광합성을 하며 다량의 산소를 대기 중에 또는 수중에 방출하므로 대기나 물의 정화나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짐. 특히 지구 표면의 3/4을 차지하는 해양에 생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산소의 방출원으로서 중시됨. 동물성 플랑크톤은 산소의 방출원이 되지 않는다.
플랑크톤 조절 (plankton condition)
저수지 등에서 수도원수를 취수할 때 플랑크톤조류의 번식이 너무 많으면 물에서 냄새가 나거나 정수공정이 곤란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저수지를 폭기 (曝氣)시켜 수질을 향상시키거나 긴급한 경우 황산구리를 살포한다. 또는 취수 심도를 변경하여 제어한다.
플래쉬 증발법 (flash evaporation process)
어느 조서의 용액이 어느 압력하에서 가열된 상태에서 급격히 그 압력보다 얕은 압력의 실내로 분출되면 그 용액은 자신의 발생증기와 평형을 유지하면서 증발한다. 이 조작을 프래쉬라고 칭하며 탈염에 응용된다.
플랜지 (flange)
휨재에서 휨 응력을 주로 받는 판(plate)등의 부재 또는 이에 준하는 부분. 일반적으로 H형강, I형강, 또는 조립 I형 단면 등의 웨브 상하에 끼어 배치된 강판이나 앵글 따위. 이 밖에 파이프 끝 또는 부품의 둘레에 붙인 판 또는 돌출부를 뜻한다.
플러그 흐름 (plug flow)
관이나 수로를 통하여 흐르는 액체가 상호 혼합함이 없이 유입한 순서대로 유출되는 흐름의 종류.
플러쉬 밸브 (flush valve)
변기세정용기구로 수세식 대변기의 세정수를 배출시키는 밸브이며 밸브를 조작하면 일정한 시간에 일정량의 물이 나온 다음 자동적으로 닫힌다. 급수관에서 직접 변기에 급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사용이 가능하고 차지하는 부분이 작기 때문에 화장실 안의 스페이스를 넓게 할수 있다. 수압은 0.7~2.0kg/㎠이고 관의 지름은 25mm 로 되어 있으며, 저압용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