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3180
공기세정 (air washing)
공기조화에서의 중요한 역할의 하나로, 냉수와 온수를 분무상태로공기와 접촉시켜, 수분의 교환 및 열교환을 행한다. 공기의 진애, 유해가스, 냄새등을 제거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공기양수펌프 (air lift pump)
양수관의 하단내부에서 압축공기를 흡입해서, 공기의 거품과 함께 양수한다. 효율은 20-40% 정도로 좋지않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으므로, 압축공기를 쉽게 얻을수 있을때나, 모래가 많은 우물물의 퍼올림 등 특수 조건인 경우에 사용된다.
공기연행제 (air entraining agent)
미소한 독립된 공기방울을 콘크리트중에 분포시키는 혼화제
공기율 (excess air factor)
과잉 공기율이라고도 한다.실제로 연소에 사용한 공기량과 완전연소시키는 데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과의 비.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공기조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를 장비한 것으로 공기 여과기, 공기예열기, 공기예냉기, 공기가열기, 공기냉각기등을 건물의 사용목적에 설치하는것이다.흔히 냉방장치(冷房裝置)라고 하나, 정확히는 공기조화기라고 해야 한다.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한다. 쾌적한 실내온도는 인간의 감각에 의한 것으로 미묘하나, 여름철에는 외기(外氣)와 기온차가 5~6℃ 정도이고, 실내온도 25~29℃, 습도 60~70%, 겨울철에는 실내온도 18~21℃, 습도 55~70% 정도가 좋다고 한다. 원리는 냉동기 ·냉장고처럼 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 증발열을 이용한 것으로, 냉매로는 저온에서도 증발하기 쉬운 액체가 사용되는데, 보통 프레온 가스가 사용된다. 기본 구조는 밀봉된 철제용기 속에 전동기와 압축기를 직결시키고, 전동기로 압축기를 회전시켜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에는 왕복운동식과 로터리(rotary)식이 있다. 응축기는 구리 파이프 표면에 알루미늄 핀(pin)을 장치한 것으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 속으로 발산시켜 냉각 액화하는 작용을 한다. 캐필레리튜브(모세관)는 응축기에서 나오는 고압의 액상(液狀)냉매를 압력을 낮추어 다음 증발기에서 증발하도록 하는 장치이며, 안지름 1mm 정도인 가는 구리 파이프이다. 증발기의 구조는 응축기와 거의 같으며, 압축된 냉매는 여기서 증발하여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다. 따라서 증발기 표면에 접촉한 공기의 온도는 내려가고, 공기 속의 수분은 증발기의 표면에 물방울이 되어 제거된다. 송풍기 계통은 능률적으로 열교환을 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공기를 보내는 것이다. 형식에는 대형 건물에 사용되는, 주요 장치를 중앙에 놓고 그 곳에서 덕트(duct)로 각 실내의 냉 ·난방을 하는 중앙집중식이 있다. 그리고 가정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소형의 유닛식이 있는데, 이것은 설치방법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눈다. 본체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창 ·벽에 장치하고, 캐비닛의 후부를 실외로 내어 응축기를 외기에 의해 냉각하는 윈도형과, 실내쪽에 증발기와 송풍기를 넣은 쿨링유닛을 놓고 실외쪽에 압축기와 송풍기를 넣은 유닛을 놓아 이 사이를 냉매를 보내는 파이프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플릿형이 있다. 또 사무실과 같은 마룻바닥에 설치하는 대형의 것에는 응축기에 의한 열의 발산에 냉각수를 사용하는 패키지형 등이 있다.
공기층 (air space)
밀폐된 공기의 벽을 말한다. 건물에서는 천장, 마루, 벽, 창등에 설 치된다. 실린더의 공기재킷등도 이것에 해당된다
공기확산식기포장치 (air diffusion type aerator)
기폭장치의 일종으로, 통상 각형 콘크리트조에 다수의 작은구멍이 있는 산기관과 산기판을 설치하여, 압축공기를 보내 미세한 기포를 만들어 수중에 분산하는 방식이다.
공기흡입법 (air blow process)
부상분리법에 있어서 거품 접촉법의 일종으로, 부상조의 밑부분에다공판, 펀칭 플레이트, 매트, 다공판 등의 산기체를 설치하고 물속에 공기를불어넣어 미세한 기포를만든다.
공동시설 (common facilities)
커뮤니티 시설 가운데 가장 인근에 배치되어 공동사용하는 시설.
공동시설비 (common facilities cast)
여러 목적에 공동으로 쓰이는 시설의 비용.
공동적의 규칙 (common-enemy rule)
영국에서 불문율로 적용하는 것으로서 물은 모든 사람의 공동의 적으로서, 모든 토지 소유자는 높은지대로부터 그들의 토지로 유입되는 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이 법칙은 배수에 대한 공동책임을 규정하는 것으로서, 고지대 소유자는 저지대의 배수 문제를 경감시키지 못하는 한, 낮은 지대 소유자의 재산에 피해를 주는 배수 공사를 할 수 없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