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3180
공업폐수 (industrial liquid waste)
공장에서 배출하는 오염된 물. 오염도는 색, 냄새, 부유물질, 유기물, 용해 물질, 방사성 물질 등의함유에 따라 결정됨.
공용용량 (joint-use space)
한국처럼 홍수기가 뚜렷한 경우에 이수용량과 홍수조절 전용용량 사이에 일부 공간을 할당해 비홍수기에는 물을 채우고 홍수기에는 물을 비워서 이수와 치수기능을 계절에 따라 교대로 부여하기도 하는데 이때의 저수지 공간을 말한다.
공용통기 (dual vent)
위생공사 배관의 통기방법의 하나로 같은 바닥 높이로 나란히 설치한 2개의 위생 기구의 배수관의 합류점에서 1개의 통기관을 세워 그 2 기구의 트랩 봉수를 보호하는 통기 방식
공용통기관 (dual vent pipe)
공용 통기법을 이용한 통기관.
공용트랩 (common trap)
1개의 트랩으로 인접하는 2-3개의 위생기구를 담당하는 트랩.
공유결합 (covalent bond)
개의 수소 원자간의 결합과 같이, 스핀이 반대 방향인 2개의 전자를 2개의 원자가 공유하여 형성되는 결합.전자쌍결합 ·등극결합이라고도 한다. 이 때 각 전자쌍을 형성하는 전자의 스핀은 서로 반대방향이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수소분자에서 수소원자는 2개의 원자를 공유하여 헬륨형 전자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 양 ·음의 이온 사이의 정전인력(靜電引力)에 의해 결합하는 이온결합을 이극결합(異極結合)이라고 하는 데 대하여, 공유결합에서는 두 원자 사이에 그러한 차이가 없으므로 이를 등극결합(等極結合)이라고도 한다. 양자역학에 의하면, 전자를 교환함으로써 생기는 교환에너지, 또는 2개의 원자 사이에 걸치는 안정된 결합성 오비탈에 2개의 전자가 함께 들어가는 것으로 설명된다. 공유결합은 대부분의 유기화합물과 일부 무기화합물에서 볼 수 있는데, 수소 ·탄소 ·산소 ·황 등의 원자는 공유결합을 만들기 쉽다. 공유결합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데는, 결합에 관여하는 전자를 점으로 나타내어 H:H, Cl:Cl 등과 같이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전자쌍의 수가 2개인 이중결합은 O::O, 3개인 삼중결합은 N??N처럼 나타낸다. 또 전자쌍 하나를 1개의 결합선으로 나타내어 H-H, O=O, N≡N과 같이 나타내기도 한다. 결합력에 있어서는 삼중결합은 이중결합보다 강하며, 또한 이중결합은 단일결합보다 강하다. 공유결합은 이온결합과 마찬가지로 전형적이고 극한적인 결합양식이며, 실재하는 대부분의 결합은 그들의 중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면, 염화수소의 경우, 전자의 확률분포는 얼마간 염소쪽으로 치우쳐 있는데, 이것은 이온결합의 성격을 띤 공유결합이라 할 수 있다.
공장폐수 (industrial waste water)
공장의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수와, 폐수를 통틀어 일컬음. 하천의 오염원이 되며 폐수 처리가 요구됨.산업발전과 더불어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된 공장폐수에 의한 강·바다·토양·지하수 등의 오염이 심해져서 농·어업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공해병까지 유발시키고 있다. 공장폐수량은 공장의 용수 사용량과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각 공장에서는 냉각·세척·수증기 생산·공정진행·제품 등을 위하여 용수를 사용하는데, 그 양은 업종에 따라 다르며, 배출수의 수질과 처리방법도 업종에 따라 다르다. 처리대상물질은 유기물질·무기물질·독물질·산·알칼리·방사성 물질 등 다양하다. 전체적으로는 유기물질의 배출량이 가장 많은데, 이 물질을 배출하는 업종은 식품공업·모방적업·석유화학공업 등이다. 유기물질을 포함한 폐수는 대부분 생물화학적 방법으로 처리한다. 제지·펄프 제조의 폐수도 다량의 유기물질을 배출하는데, 주성분은 리그닌(lignin)이고, 약제도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물학적 폐수처리는 어렵다. 석유화학공업·석유정제업·철강업·기계공업 등에서는 유분(油分)이 많은 폐수가 배출된다. 유분 제거방법으로는 API식·PPI식 유수분리장치(油水分離裝置) 등과 가압부상법(加壓浮上法) 등의 방법이 적용된다. 무기물질 폐수는 주로 무기폐수량의 절반 정도는 화력발전소·제철소·정유공장 등에서 배출된 냉각수인데, 이것은 주변의 바닷물보다 수온이 5∼10℃ 높으며,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 악영향의 예를 보면, ① 선박에 부착하는 천공생물(穿孔生物)과 오손생물(汚損生物)의 발생, ② 어류의 회유를 방해하는 온도장벽, ③ 김양식 방해, ④ 산소결핍으로 인한 해양생물상의 변화, ⑤ 안개 발생으로 인한 항해방해 등이 있다. 화학공장과 식품공장 등의 폐수에는 인과 같은 영양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데, 이 영양물질이 호소·하구 등 정체성 수역(停滯性水域)에 배출되면 부영양화(富營養化)·적조현상(赤潮現象) 등의 공해를 일으킨다. 한국에서는 1960년대 초부터 시작된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많은 공장들이 전국의 공단과 도시 주변에 건설되었는데, 이러한 공장들의 급속한 생산활동의 증가에 비례하여 폐수배출량도 증가되었다. 그러한 폐수가 자연수역에 방류됨에 따라 수질오염이 사회문제화되었다. 공장폐수는 환경보전법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자가처리하도록 규제되어 있으며, 규제대상 물질의 허용농도가 설정되어 있다. 각 공장에서 방류하는 방류수의 농도가 허용범위라도 그 유량이 과다할 때는 배출물질의 총량을 규제한다.
공정반응 (eutectic)
하나의 액체에서 2종류의 고체 조성 원소가 일정한 비율로 동시에 정출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반응
공조 (air condition)
실내의 습온도, 기류,먼지, 취기, 유해가스, 세균 등의 조건을 실내의 사람이나 동물 또는 물품에 대해 좋은 조건을 유지하는 것.
공중합 (copdymerization)
2종류 이상의 다른 단량체가 중합하여 각 성분이 포함된 중합체가 생기는 반응.
공진 (resonance)
진동계의 고유진동수가 외부에 오는 강제진동의 진동수와 일치할때 그 진폭이 현저하게 커지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