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132
대기압 (atmospheric pressure)
대기주가 지구표면에 미치는 압력. 1기압에 상당하는 수두는 약 10.33m 이다.
대기창 (atmospheric window)
지구대기를 이루는 구성성분이 각기 고유 파장영역의 빛을 흡수, 산란하고 나서 지면에 도달하는 나머지 빛의 파장영역.전리층 0.3μm보다 짧은 파장의 빛은 모두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지면에 도달하지 못한다. 그러나 0.3~1μm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일부는 지면에 도달하며, 이 영역을 광학적 창이라 한다. 이 파장대에서는 일반적인 광학망원경이 쓰인다. 1μm보다 긴 적외선은 주로 H2O와 CO2분자에 의한 흡수로 지면에 도달하지 못한다. 수증기가 아주 적은 고산지대나 사막지대에서는 특정한 적외선 영역을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창에는 특수하게 제작된 적외선망원경이 이용된다. 한편 파장이 수 mm에서 20m 정도에 이르는 전파는 지상에 잘 도달한다. 이 영역을 전파창이라 하며, 전파망원경이 쓰인다. 20m 이상의 장파장광선은 대기상층의 전리층에서 흡수되어 지상에 도달하지 못한다.
대기후 (macroclimate)
한국 전체, 대륙, 때로는 지구 전체 등의 넓은 지역의 기후 또는 기후를 논하는 기후학 분야.중기후 ·소기후에 대응되는 말이다. 중기후나 소기후에 비하여 대기후의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실시되었으며, 수리기후(數理氣候) ·기후대(氣候帶) ·일반적인 기후구분 등 많은 분야가 속한다. 세계기후도뿐만 아니라 한국기후도라도 기상청의 기후자료만을 사용하여 그린 기후도는 대기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기후에 지역차가 생기는 원인인 기후인자는 중기후 ·소기후와는 다르며, 대기후에서는 위도 ·해륙분포 ·지형 ·해발고도 등이 기후인자가 된다.
대류권 (troposphere)
대기권의 최하층을 이루는 부분.범위는 적도 부근에서는 지표 로부터 대략 16~18 km, 북위 50 °에서는 10~12 km, 극 부근에서는 6~8 km이다. 그 상한(上限)이 되는 면을 대류권계면이라고 한다. 이 층 안에서는 기온이 보통 고도와 더불어 감소하며 상하의 대류가 왕성하여 공기의 교체가 일어나기 쉽다.
대류권계면 (tropopause)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면권계면이라고도 한다. 평균고도 약 17km 부근에 있는데, 기상 조건 ·시간 ·장소에 따라 다르다. 보통 저위도지방에서는 높고(적도지방:16~18km), 위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진다(양극지방:6~8km). 중위도지방에서는 여름에 높고 겨울에 낮다. 또, 고기압 속에서는 높고, 저기압 속에서는 낮다. 특히 강한 저기압에서는 깔때기 모양으로 움푹 패이므로 권계면깔때기라고도 한다. 고기압 ·저기압이 왕래함에 따라 권계면이 수면의 파도처럼 물결치므로, 이를 대류권계면파(對流圈界面波)라 한다.
대류성강수 (convective precipitation)
대기내에서 공기의 대류성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강수
대류형강우 (convective precipitation)
지표가 불균형하게 가열되고 공기층 정상부를 불균등하게 냉각시 온도차이가 생겨 있어내는 강우
대물렌즈 (substance lens)
현미경에서 사물에 가까이 접해지는 렌즈이다. 반대어는 대안렌즈로 대물렌즈의 종류에는 아크로 마트계, 프란계, 아포크로 마트계가 있다.대물렌즈는 대물경이라고도 한다. 물체의 상(像)을 맺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로, 눈에 접하는 쪽의 렌즈인 접안(接眼)렌즈에 대응하는 말이다. 망원경의 대물렌즈는 먼 곳에 있는 물체의 상을 맺는 것으로 색수차(色收差) ·구면수차(球面收差) 및 코마수차 등의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보통 크라운유리로 만든 볼록렌즈와 플린트유리로 만든 오목렌즈의 두 렌즈를 합친 것이다. 이것을 색지움렌즈(achromatic lens)라고 한다. 또 고급 망원경의 대물렌즈는 색수차를 더욱 보정하기 위해 3개의 렌즈로 되어 있다. 이것을 고차(高次) 색지움렌즈(apochromatic lens)라고 한다. 현미경의 대물렌즈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의 확대상(擴大像)을 만드는 것으로, 여러 가지 수차를 충분히 보정하기 위해서 많은 렌즈로 이루어져 있다. 저배율용(低倍率用)의 대물렌즈는 색수차의 엄밀한 보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색지움 대물렌즈가 사용되고, 고배율용의 대물렌즈에는 색수차가 충분히 보정되어 있는 고차색지움 대물렌즈가 사용된다.
대상재배 (stripe cropping)
기다란 경사면에 작물을 재배할 경우, 파종기(播種期)나 수확기가 서로 다른 작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등고선을 따라 띠 모양[帶狀]으로 식재하여 토양의 침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재배방법.가장 전형적인 형식은 어떤 작물과 영년성 목초(永年性牧草)를 교대로 띠 모양으로 경사면에 배열하는 방법인데, 목초밭에서는 침식이 방지되는 동시에 목초와의 돌려짓기[輪作]에 의해 지력(地力)의 증강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같은 종류의 작물을 경사면 전역에 재배해야 할 때에는 등고선을 따라서 적당한 간격으로 나누고 그 경계에 목초를 한 줄 내지 몇 줄 심는다.
대수 사멸기 (long-death phase)
이 기간에는 박테리아의 사멸률이 새로운 세포의 생성률을 능가 한다. 대수 성장기의 역의 관계에 있다.
대장균군 (coliform group)
사람과 동물의 장내에서 기생하는 대장균 및 대장균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균의 총칭.사람과 동식물 장내에 서식하는 대장균과 주로 물 ·토양 등 자연계에 분포된 앵무병감염균 및 중간형을 대장균군이라 총칭한다. 이 세균군을 각기 정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렵고, 일반적으로 이 세균군을 합해 콜리형 균이라 하여 검사하고, 물 ·식품 안전도의 지표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