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195
무기 영양 세균 (inornic nutritive bacteria)
탄산가스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해 그 세포 합성에 유황질산, 철 등의 불완전 산화물을 산화해 얻은 에너지를 이용해 생활하는 세균군, 유황세균, 소화세균, 철세균 등이 이에 속함.
무기 폐수 (inorganic wastewater)
주로 무기물질을 포함한 공업폐수. 예를 들어 금속가공업, 제2연소, 관상 등에서 생기는 폐수로서 독성을 포함하는 일이 있다.
무기용해성물질 (inorganic dissolved substance)
수용액에 녹아 있는 물질 가운데 무기질의 물질.염산, 황산, 질산 등과 같이 탄소 이외의 비금속 원소 또는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산기가 수소와 결합하여 생긴 산을 무기산이라고 한다.
무기화 (mineralization)
살아있거나 죽은 생물중에 유기의 형으로 결합되어 잇는 원소가 식물성장의 사이클이 이용되기 위해 무기의 형으로 변화되는 작용. 유기화합물의 무기화는 연소나 동물대사에 의해 일어난다. 미생물은 어떤 곳에나 존재하며 극히 성장률이 크므로 자연계의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다.
무넘이 댐 (overflow dam)
댐마루를 넘어서 물이 흐르는 형식의 댐. 월류댐이라고도 한다.
무선로봇우량계 (wireless robot rain gage)
평지의 관측소에서 산지의 우량을 알 수 있도록 한 장치. 산에 막사를 세우고 수수부, 자동무선 바신부를 두며 평지의 관측소에는 수신부를 둔다. 전파는 초단파가 쓰인다. 대개 작은 건물 위에 수수기(受水器)를 설치하고 건물 안에 계량부(計量部) ·부호발생부 ·제어시계부(制御時計部) ·송신기부 ·전원부(電源部)가 있다. 적산(積算)된 우량은 1시간마다 모스부호로 발신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파의 도달거리는 대개 50km 이내이고, 산기슭에 있는 수신소에서 이를 수신한다. 이것으로 종래에는 알 수 없던 산지의 우량을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산지의 큰 비에 의한 홍수나 산사태 등의 재해를 미리 아는 데 쓰이고 있다.
무수량 (unacounted-for water)
정수장에서 소비지로 공급한 물 중에서 소비자에게 도달하지 않고 누수가 되었거나 소비자에게 도달하였지만 수도요금을 징수할 수 없게 된 물. 무수수량이라고도 함.
무수프탈산 (phthalic anhydride)
화학식은 C8H4O3.공업적으로는 나프탈린 또는 O-크실렌을 산화바나륨 촉매 등을 사용해 공기산화한다. 무색침상 또는 판상결정이며 승화성이 있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유기합성 원료로서 용도가 넓고 오염물질의 하나이다.
무수황산 (sulfuric anhydride)
SO3. 삼산화유황이라고도 하고 대기중의 아황산가스가 산화되어 생기며 습기에 노출되면 황산의 퓸(fume)이된다
무압터널 (non-pressure tunnel)
터널 속을 자유수면을 가진 개수로로서 수류가 흐르는 상태의 수로.
무연탄 (anthracite)
역청탄보다 석탄화도가 더욱 진행된 석탄으로 휘발분이 3∼7%로 적고 고정탄소의 함량이 85~95%로 높다. 따라서 연소시 불꽃이 짧고 연기가 나지 않는다. 점화점이 약 490℃이며 비점결성으로 코크스는 되지 않는다. 주로 고생대의 오래된 지층에서 산출된다.역청탄(瀝靑炭)보다 석탄화도가 더욱 진행된 석탄으로 휘발분이 3∼7%로 적고 고정탄소의 함량이 85~95%로 높다. 따라서 연소시 불꽃이 짧고 연기가 나지 않는다. 비점결성으로 코크스는 되지 않는다. 점화점이 약 490℃이므로 불이 잘 붙지 않지만 화력이 강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탄다. 주로 고생대의 오래된 지층에서 산출되며, 간혹 신생대 석탄으로도 지각변동의 동력작용이나 화산암의 열작용으로 무연탄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한국의 석탄은 대부분 무연탄으로 주로 고생대 평안계 지층에서 산출되는데 삼척탄전 ·강릉탄전 ·정선탄전 ·영월탄전 ·화순탄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중생대 대동계 지층에서 산출되는 것으로는 충남탄전 ·문경탄전의 일부가 여기에 속한다. 세계적으로는 유연탄의 생산이 많으나, 한국은 무연탄의 산출이 많으며, 세계 주요 산출국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