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165
생물막 (biomembrane)
살수여상(撒水濾床)의 여재(濾材)중을 배수가 통과할 때 여재의 표면에 생성되는 젤라틴상의 막으로서 살수 여상법에서, 정화 작용의 주역할을 함. 여상에 살포된 유기배수의 일부는 급속하게 여상을 통과하여 유기물은 흡착 응집에 의해 제거됨. 일부는 천천히 생물막면을 유하하면서 용해성 물질이 흡착, 분해됨. 생물막이 두꺼울 경우 내부 (여재와의 접촉면)는 공기의 공급이 불량해지며 혐기성 미생물막이 생김. 혐기성 대사 산물 중의 유기산과 알코올은 표면으로 확산됨. 그 결과, 생물막에 BOD부하가 생겨 막이 탈락되기 쉽게 됨. 여재표면이 얇은 생물막으로 깨져 호기적 상태가 유지되고 있을 때의 정화 효율은 매우 높음.
생물막법 (biomembrane process)
회전 원판법이나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은 생물막법의 일종임. 활성오니법(活性汚泥法) 등은 생물막법이 아님. 전자의 두 방법은 원판이나 여과 바닥 표면에 생물막이 발육. 고정되어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생물이 액 중에 부유함. 따라서 생물막법은 고정 바닥 방식이라고도 함. 반송(返送)오니나 MLSS의 조절이 필요없으며, 벌킹도 일어나지 ?음. 생물막 표면에서는 호기성 처리가, 내부에서는 혐기성 처리가 행해짐.
생물상 (biota)
생물종류상이라고도 한다. 일정한 장소(동일환경 또는 지리적 rdur)에서 산출되는 생물의 모든 종류. 정성적인 개념으로 보통은 프로라와 파우나를 포함한 것이나 이 외에 미생물상으로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지중 생물상, 육상 생물상, 저생 생물상 등으로 불린다. 생물종류상(生物種類相)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개체수나 우점도와 같은, 그 곳에 사는 동식물의 양이나 상호관계와는 관련 없는 정성적(定性的)인 개념이다. 보통 식물상과 동물상으로 구분된다.
생물순환 (biological cycle)
공장배수, 가정잡배수, 분뇨에는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들어 있다. 이런 물질은 하수처리장에서는 20∼30%밖에 제거되지 않으므로 하수배수와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 간다. 바다의 플랑크톤은 물에 녹은 질소나 인을 영양분으로 흡수하여 증식한다. 이 플랑크톤을 작은 물고기가 먹고, 이 물고기를 큰 물고기가 먹고 이를 마지막에는 인간이 먹는다고 하자. 최초에 공장이나 분뇨배수에 포함되어 있던 질소나 인이라는 오염물질은 이렇게 하여 물고기라는 단백질원이 된다 이것은 물의 순환과 생물순환의 상호작용이 더러움을 정화해 자원으로 바뀌어 가는 예다. 영양은 물에 녹아 육지로부터 바다로 흘러들어 간다. 어업이나 낚시라는 행위는 바다에서 육지로 영양을 끌어올리는 순환의 한 과정이 된다. 인간과 새와 물고기만이 바다나 강, 호수로부터 영양을 육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석유나 석탄을 태우면 탄산 가스라는 오염물질이 나온다. 식물은 대기의 탄산 가스와 뿌리로부터 빨아들인 물, 질소, 인 등의 영양을 태양빛에 의한 광합성으로 만들어 생장하는데 이때 산소도 같이 배출한다. 이 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에게 한 순간도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것이다. 이처럼 생물순환에 의해 탄산 가스는 정화되고 있다.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은 `더럽히지 않으며 자원을 낭비적으로 순환시키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한 것이다.
생물시험법 (bioassay)
수질시험법의 하나로 어느 물질이 생물에 주어졌을 때 생물에 일어나는 반응, 즉 생물반응으로부터 물질의 반응성, 독성 등을 추정하는 방법. 사용되는 생물은 동물, 식물, 미생물 전반에 걸친다. 1) 생물학적 처리에 반응하는 물질을 분석하는 정성적 또는 정량적 방법으로 생물학적 활성에 있어서의 변화를 사용하는 시험법. 2) 시험생물로서 산 물고기를 사용하여 공장폐수, 기타 폐수의 유독성을 정향하는 방법으로 어류에서는 보통 반수 생존농도로 표시된다.
생물적환경 (biotic environment)
유기적 환경이라고도 한다. 생물이 다른 생물에 대하여 형성하는 환경. 생태계 중에서는 식물은 동물의 생활의 장소이나 식물로서 생물적 환경이 되고 피포식동물에 대하여 생물적 환경이 된다. 벌채, 개간, 식목, 방목, 매립, 도로건설 등 인간이 영위하는 영향은 극히 크다. 지역개발 계획에 있어서는 환경에 대한 긍정적 면과 부정적 면에 대하여도 미리 충분한 환경조사가 필요하다.
생물지표 (biological indicator)
그곳에 어떤 생물이 어떻게 존재하는가, 생물체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하는 생물측의 상황에서 환경상황을 유추(類推)하여 나타낼때 그것을 생물지표라 함. 생물지표는 옛날 부터 천기예보, 파종기 어군탐지등에 경험적으로 사용되어왔으나 최근에는 여러가지 생물지표가 개발되어 환경조사에도 사용되며, 생물단위로는 1) 개체 또는 개체부분, 2) 특정종의 개체군, 3) 특정분류군을 단위로 하는 전체의 개체군, 4) 복수분류군을 조합한 개체군, 5) 특정군락내지 군집에 포함되는 전생물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는 이화학적계기로 측정키 어려운 오염물질의 상승작용의 검출등에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생물지표의 대상환경으로서는, 토양(지력, 토양수분, 토질 pH등), 물(저질, 수질, 수온, 유속(流速), 수심 등), 대기(대기질, 풍향, 기온, 공중습도, 서리(降霜), 천후예보 등), 빛(빛의 강약, 일장, 자외선량의 다소등), 기후(기후대, 수직분포대계절등), 경관(景觀)(삼림, 초원, 해변, 호수, 하천, 경지, 도시, 전원등), 산의높이, 식물군락, 생물지구, 자연도, 생물상의 풍부상, 병해충발생예상, 작물의 풍흉작, 환경악화, 산업입지 등을 들 수 있다. 조류의 모양, 울음소리에는 이러한 지표성을 인정할 수 있다.
생물학적 반감기 (biological half life)
어느 물질이 혈액 중이나 그외의 장기, 또는 생물전체에서 감소 및 소실되어 갈 때, 농도가 초기농도의 1/2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물질 축적성의 지표이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자연히 붕괴할 때의 물리학적 반감기에 대한 단어이다. 조직에 존재하고 있던 방사성 동위원소는 자연적인 붕괴와 생물학적인 과정에 의하여 방사능이 감소되어 간다. 일반적으로 오염물, 약물과 같은 외부로부터 공여되는 이물질도 그 과정이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측정은 곤란하다.
생물학적방법 (biological process)
세균, 기타 미생물의 생활활동이 식물을 구하여 복잡한 유기물을 간단하고 한층 안정된 물질로 분해하는 방법. 오염된 하천의 자정작용, 슬러지 소화 및 모든 소위 2차 폐수처리는 이 방법으로부터 생긴다. 미생물과 그 생활활동을 포함하는 방법을 뜻한다.
생물학적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서 호기성 분해될 때 필요로 하는 산소량을 mg/ℓ 또는 ppm 단위로 나타낸 것으로서, 수중의 용존산소에 의해서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척도가 되고, 하천이나 하수·공장페수 등의 오염농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고 있다. 분해과정은 주로 유기물의 산화가 끝날 때까지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제1단계의 탄소계 산소요구량과 질소화합물의 산화가 끝날때까지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제2단계의 질소계 산소요구량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는 20℃에서 5일간에 소비되는 산소량이 사용되며, BOD5로 표시된다.
생물학적산화 (biological oxidation)
하수처리시 미생물을 매개로 하여 유기물이 산화하는 것이 다. 호흡과 자기산화를 합친 작용이다. 호흡과 자기산화를 합친 작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