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174
청정생산기술 (clean technology)
저오염 및 저공해 공정기술(Low Pollution Technology)로 통칭되며, 사후처리기술(End of Pipe Technology)의 상대적 개념으로 사용된다. 발생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존의 사후처리기술로서는 오염물질 배출을 더이상 저감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원천적으로 공정을 개선하여 제조과정에서 오염물질 발생 자체를 줄인다던가 발생된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 다시 사용하는 등의 기술을 말한다.
청정하천 (clear river)
오염을 느낄수 없는 하천으로 정수하면 전부 음료수가 되는 것.
청조현상 (blue tide phenomenon)
바다 밑 무산소 수괴가 조류에 의해 해면 위로 올라오는 현상. 인간이 배출한 유기물이 바다밑에 쌓여 부패될 때 바닷물에 있는 산소를 빼앗는데 이때 해면에서 유화수소가 발생하면서 푸른색을 띤다. 준설 작업으로 깊은 구릉이 형성된 지역에서 자주 발생한다.
청징기 (clarifier)
고체·액체 분리에 사용하는 화학장치. clarifier 라고도 한다. 넓은 뜻으로는 여과기와 회전원판형 청징기 등을 포함시킬 때도 있다. 디캔터 등의 원심침강기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공장배수·상하수 등 많은 양의 액체를 분산·혼합하여 혼탁하게 하는 미소입자 상태의 물질을 침강시켜 농후한 오니(汚泥)로 분리 제거함과 동시에 위쪽의 입자가 섞이지 않은 맑은 액을 연속적으로 회수하는 장치이다. 입자의 침강현상을 이용하며, 침강을 촉진시키는 처리로서 현탁액에 응집제를 넣고 휘저어 덩어리를 만든 뒤 응집침강시킨다. 중력에 의해 청징화가 되는 것은 오니를 회수하는 것이 주목적인 침강농축현상과 비슷하다. 따라서 청징기에는 침강농축장치인 시크너와 비슷한 장치가 쓰인다.
청징여과 (clarifying filtration)
농도가 낮을 때에는 여과재 내부의 여과를 포함한 청징여과를 한다. 청징여과는 여과재층 내부에서 입자를 포집하는 내부여과 또는 폐색여과이다. 청징여과에는 다음의 2종류가 있다. ① 여재여과: 음료수나 공업용폐수의 여과 또는 윤활유의 회수 등 고체농도가 매우 엷은 액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인데, 압력도 낮은 경우가 많고 여과재도 모래층, 섬유충전층, 다공질의 자기나 금속소결체를 사용하여 찌꺼기를 형성시키지 않고 여과재 안에서 입자를 포집한다. ② 보조제층여과 : 같은 청징여과인데, 여과보조제로 프레코트한 층에서 여과를 하는 것으로 울트라필터 등이 있다.
청징제 (clarificant, clarifying agent)
현탁액 속의 부유물이나 콜로이드 입자를 제거하여 액체를 청징하게 하기 위해 첨가하는 화학약품. 부유입자를 흡착하는 것, 응결시켜 침강을 빠르게 하는 것, 침전 생성을 조장하는 것, 여과를 쉽게 하도록 하는 것 등이 있다. 소규모로는 거름종이를 풀어서 물 속에 드리운 것이나 달걀 흰자위 등을 사용하며, 공업용으로는 석회·애벌구이 조각·소석고(燒石膏)·고백반(枯白礬)·표백토·규조토 등을 사용한다.
청징화 (clarification)
청징기(靑澄器)내에서 행해지는 청징 작용을 의미한다. 입자의 침강현상을 이용하며, 침강을 촉진시켜 현탁액에 응집제를 넣고 휘저어 덩어리를 만든 뒤 응집침강시킨다. 중력에 의해 청징화가 되는 것은 오니를 회수하는 것이 주목적인 침강농축현상과 비슷하다.
체 (sieve, screen)
가루를 치거나 액체를 걸러내는 데에 쓰는 용구. 테는 나무를 얇게 켜 겹으로 만들고, 바닥은 말총·철사·대나무 등의 망 또는 삼·명주 등의 포백(布帛)을 팽팽하게 친다. 사용방법은 쳇바퀴안에 선별해야 할 과립(顆粒)을 얹고 흔들어서 망의 눈을 통과하는 입자와 통과하지 못하는 입자로 나누는 것으로,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쳇바퀴·아들바퀴·쳇불로 구성되는데, 쳇바퀴는 체의 몸이 되는 부분이고 아들바퀴는 쳇바퀴 안쪽으로 들어가는 바퀴이며 쳇불은 쳇바퀴에 매어 있는 망이다. 이 쳇불의 구멍 크기에 따라 어레미·도드미·중거리·가루체·고운체 등으로 나뉘는데 어레미가 가장 구멍이 넓다. 또 공업용으로는 기계화된 회전체·진동체 등이 있다. 체눈의 크기는 보통 메시(mesh)의 단위로 표시된다.
체내축적 (accumulation in boby)
체내에 흡수된 유독화학물질의 흡수량이 배세량 보다 크면 그 유독화학물질은 서서히 체내에 축적된다. 특히 유독화학물질이 장기적(長期的)으로 연속섭취 되었을 때 문제가 된다. 축적성이 큰 유독화학물질의 장기 노출 (환경오염 등을 통하여)에 주의해야 한다. 카드뮴은 신장에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용성 비분해성의 PCB, DDT 등이 축적되는 것으로 보인다. 환경오염 물질에 대해서는 식물연쇄를 통하여 생물농축 된다.
체내피폭 (internal exposure)
신체내부에 존재하는 방사선 등의 동위원소에서 방사선의 조사(照射)를 받으면 내부피폭이라고도 함. 흡입, 연하(嚥下) 등으로 체내에 섭취하였을 때 그 방사성 물질이 전신에 균등하게 퍼질 때에는 전신피폭이 된다. 특정의 장기에 많이 포함될 경우에 국부피폭이 된다. 체내 피폭선량(被曝線量)의 측정이 실제적으로 곤란하여 최대허용량을 넘는 피폭을 받지 않도록 편의적인 기준으로 수중, 공기중의 최대허용 농도가 정해져 있다.
체류시간 (residense time)
장치의 용적을 유체의 처리속도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며, 체류시간이 적으면 처리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오수와 오염 공기 등의 처리장치의 하나의 지표가 된다. 체류 시간의 역수(逆數)를 공간 속도라 함. 체류 시간을 T[h], 유체의 반응기(反應器)로서 공급 속도를 F[㎥/h], 반응기의 내용적을 V[㎥]라 하면, T=F로 표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