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124
토양 (soil)
흙은 작물이 자라나도록 하는 단순한 물리적 기능만이 아니라 화학적 이고 생물적인 역할도 크다. 화학비료에만 의존하면 흙의 단립구조가 파괴되고 작물의 생육은 불안정해져 생산 수량이 떨어진다. 퇴비는 비료분으로서만이 아니라 작물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완충작용도 한다. 근대 농학은 화학비료 중심의 재배체계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 들어 `유한한 토양 자원의 지속성을 상실하지 않는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토양개량제 (soil amendment, soil conditioner)
작물의 생육을 좋게 하고 생산력을 높이기 위해 쓰는 토양개량용 물질. 퇴구비·볏짚·보릿짚·들풀 등도 토양의 단립화를 형성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일종의 토양개량제라고 할 수 있으나 보통은 중점토의 입단조성을 조장하는 크릴륨 등처럼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쓰이는 비료 이외의 물질을 말한다. 가장 초기에 나온 토양개량제는 합성수지의 하나인 크릴륨이다. 토양의 내수성 입단화를 촉진하여 배수가 잘 되도록 하고 증발을 억제하며 관개수를 절약하고 토양침식을 방지하여 작물의 생육을 돕는다. 점토질 토양에 쓰여 내수성 입단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는 소이락이 있다. S.C.P.는 10a당 375㎏ 정도 쓰면 사질논에서는 질소의 지속성이 증대되고, 점질논에서는 초기생육이 증진되며 인산의 흡수를 돕는다. 토양의 염기치환용량의 증가와 논의 누수방지를 목적으로 쓰이는 점토광물로는 벤토나이트(bentonite)가 있다. 이것을 화산회질 및 사질의 논에는 10a당 1000∼4000㎏ 정도 쓰며 객토하면 누수방지와 비료의 용탈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제올라이트는 벤토나이트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서 염기치환용량은 벤토나이트보다 높다. 한편 비료는 작물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를 노려 시비하는 것인 데 비해 토양개량제는 간접적인 효과를 기대하여 시비하는 것이다.
토양미생물 (soil microorganism)
지표 혹은 토양 속에 생존하는 미생물의 총칭으로서, 세균이 나사상균, 방사균 외에 조류, 원생동물 등 많은 종류가 있다. 세균은 가장 많이 생식하고, 그 수는 토양 1g 속에 수십억에 달한다고 한다. 사상균은 세균에 비해 수는 적지만 생체의 중량에 있어서는 가장 많고, 방선균은 세균 다음으로 많다. 어느 것이나 다 유기물을 분해하며, 토양의 생성이나 고등식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준다.
토양세균 (soil bacteria)
세균은 토양미생물 중 그 수효가 많으며 분포도 다양하다. S.N.Winogradsky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토양세균을 토양고유형, 발효형으로 나누었다. 신선한 유기물이 토양에 들어 갔을 때 그 분해의 초기에 활동하는 것을 발효형 세균, 유기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안정한 생식세균을 토양고유형 세균이라 했다. 그러나 현재에는 주된 생식장소를 토양으로 하는 것은 토양고유형 세균으로 생각되고 있다. 토양생식의 세균은 에너지 획득방법에 의해 2가지로 구별된다. 즉 에너지 및 탄소원으로 유기물을 필요로 하는 종속영양세균과 광에너지 또는 무기물의 산화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동화하는 독립영양세균이다. 농경지 토양에서 검출하는 세균의 대부분은 종속영양세균이다.
토양소독 (soil sterilization)
식물에 병해를 일으키는 흙 속의 박테리아나 곰팡이류, 해충의 제거 방법. 살균제 주입, 태우기, 열증기 소독, 태양열 살균 등이 있다. 살균제로 크롤피크린, 브롬화 메틸, PCNB 등이 사용되지만 발암성 및 최기형성의 위험이 높다. 태우기, 열증기 소독법은 살균제보다 살균 효과가 크다. 그러나 모든 소독 방법은 농약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줄어들게 하므로 농약 잔류율이 높아지는 결점을 가진다. 이런 점에서 저온에 의한 태양열 살균은 병원균만을 죽이는 것이므로 가장 기대할 만한 소독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토양수대 (soil water zone)
지하수의 연직분포상에서 지표면으로부터 식물의 뿌리가 박혀 있는 면까지의 영역을 말하며, 이 대내의 물은 비포화상태에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 대의 두께는 토양이나 식물의 피목의 종류에 따라 약간 변화한다.
토양수분 (soil moisture)
분자간의 인력 즉, 토입자와 물 분자간의 부착력과 응집력의 발생에 의해 지하수면 위의 토양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토양수분미흡량 (soil moisture deficit)
실제 토양수분량과 토양수분 보유능과의 차이. 강우시 침투율의 크기와 지하수의 함양(ground water recharge)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토양수분보류 (soil moisture retention)
토양중의 중력에 대항하여 표면장력과 분자인력에 의해 보류되어 있는 수분량.
토양수분보유능 (soil moisture field capacity)
토양이 보유할 수 있는 최대 수분량을 말하며 토양의 종류와 다짐정도 등에 따라 상이하다. 이 양보다 큰 토양내 수분은 중력에 의해 지하수로 배출된다.
토양수분흡인력 (soil moisture suction)
다공질 투수성 벽이나 막을 통해 토중의 물로서 수리학적인 평형을 이루기 위해 토층에 발생하는 흡인력으로 통상 부압으로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