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수도용어사전

상수도용어사전

수질용어찾기

수도/수질등의 특성에 대한 용어 규정집 입니다.
용어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검색 된 단어수 : 250
해양의 석유오염 (oil pollution of marine)
해양 석유오염은 유조선 밑바닥의 빌지 수(水), 바라스트수(水), 유조침전물, 선박 기관에 쓰인 폐유의 불법투기, 유조선의 충돌 사고에 의한 원유 유출, 해저 유전으로부터의 누유로일어난다. 1989년 3월 미국의 알래스카 주 연안에서 대형유조선 `엑슨발디즈` 호가 좌초되어 원유 약 4천1백만㎘를 유출, 해양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었다. 또한 1991년 2월 페르시아 만 전쟁으로 원유가 유출되어 생태계에 심한 타격을 입힌 바 있다. 우리나라도 1996년 시프린스호 등 유조선의 침몰로 큰 피해를 입었다.
해양의 탄산가스흡수 (carbon dioxide adsorption of marine)
일반적으로 공기중의 기체가 증가하면 물에 녹는 기체의 양도 증가한다. 바닷물은 대기중 탄산가스의 50배나 되는 무기탄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탄소의 엄청난 저장고다. 그러나 해양상층부의 해수는 중하층과 혼합되기 어려워 해양 상층의 탄산가스는 금세 포화상태가 된다. 또한 해수 중의 탄산의 분해, 평형에 의한 완충작용도 탄산가스가 해수에 녹는 것을 방해한다. 더욱이 해양 플랑크톤에 의한 광합성이나 탄산칼슘의 생성, 분해도 해양이 흡수할 수 있는 탄산가스량의 평가를 어렵게 하고 있다.
해양자원 (marine resources)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해양의 물질과 에너지원. 해양광물자원·해수용존자원·해양에너지자원·해양생물자원 등으로 나뉜다. 해양(海洋)은 해수 그 자체가 자원이다. 생물자원(수질자원)광물자원등 해수에서는 식염(염화나트륨)을 비롯 많은 화학물질이 추출되어 이용되고 있다. 해양의 파랑조석 또는 해류의 에너지. 해수의 온도차등도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있어 광의의 해양자원으로 볼 수가 있다. 생물자원도 단지 식품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바이오메스 에너지의 대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양물자원으로서는 근해대륙붕의 석유, 석탄, 천연가스 또는 해저의 망간고괴(manganese nodules)등이 주목되어 있다. 해저의 지역이나 화산의 에너지등도 미이용자원으로 검토되고 있다.
해양측량 (sea surveying)
해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개척하기 위해 해양의 제반자료를 얻기 위하여 각종 해도작성, 바다의 수평 및 수직위치 결정, 조류 및 조석관측, 해저지형측량 등을 한다.
해양투기 (oceam dumping)
폐수, 폐기물, 분뇨 등을 처리 혹은 미처리 상태로 바다에 버린다. 미처리 상태로 투기할 경우 오염의 원인이 되며, 최근에는 방사성 폐기물의 투기가 국제적 문제가 되고 있다.「기름에 의한 해수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 조약」은 탱커액체 화물을 수송하는 배 (석유류를 운반하는 유조선, LPG선, 케미컬 탱커 등이 있다)의 대양 운항이 증가 추세를 보이자 1954년에 서명하여 1958년부터 발효됐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기름으로 인한 바닷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약으로, 선박의 기름배출 규제, 유량 기록부의 관리, 항만의 폐유 처리시설 정비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 조약을 강화하기 위해 기름 외에 유해 액체물질의 배출 규제를 첨가한 「선박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조약」이 1973년 채택되어 1983년부터 발효되었다. 이 의정서는 통칭 「마르폴 73\78년 조약」이라고 한다.
해양투입처분 (ocean dumping)
폐기물(廢棄物)을 해양에 투기하는 것으로 해양오염 및 해상재해방지에 관한 법(해양오염방지부)과 함께 폐기물 처리 및 청소에 관한 방류(폐기물처리법)에 의해 폐기물해양투입처분에 관한 기준이 정해져 있는 해양투입처분기준은 해양투입처분이 허가된 종류를 특정하고, 그 종류에 의해서 배출해역과 배출방법은 정하고 있다.
해양학 (oceanography)
해양과 지리학의 합성어로 해류, 해저, 해양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해양물리학, 해양화학, 해양기상학, 해양생물학, 해양지질학 등이 있다. 즉 해수의 온도, 염분함유량, 해류의 속도, 해저의지형, 플랑크톤이나 어류의실태 등을 연구한다. 해저연구는 지각의 과거 역사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해양확산 (marine diffusion)
일반적으로 보아 해양의 특정수, 또는 어떤 물질의 확산 현상을 말함. 그러나 해양 환경조사에는 유동과 확산을 일체화한 분산으로 자연물질 및 폐기물질의 수송에 관한 물리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 많다. 해양에 보이는 확산현상의 특색은 수평방향의 확산이 연직방향 확산에 대해 비상이 크게 움직이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편의적인 수평2차원의 확산모델이 사용됨이 많다. 점원순간방출에 대해서는 몇 개의 이론식도 주어져있다. 석유 2kl 정도에 달한 유막은 파도에 부서져서 분산됐다. 항만 하구등의 오염조사에서는 주로 복스모델방식이 사용된다. 지형 해조류등을 생각해 일원의 복스로 구분하여 각기복스가 있는 오염 물질 농도 등으로부터 유출입 분산을 구한다. 이때 과동확산계수는 순환유의 효과등을 품은 분산계수에 의해 자리바꿈을 한다.
해양환경 (marine environment)
해양의 어떤 생물을 둘러싼 외국의 것으로 생물적환경(유기적환경)과 비생물적환경 (무기적환경)이 있다. 근년에는 인간 기타의생물(특이육상의 생물)의 생활을 생각할 때 그것을 둘러싼 육상환경에 대해서 해양의 환경을 지적할때가 많다. 그러나 해양이라는 비생물학적환경이 독립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주체가 되는 생물의 존재가 있게 된다(해양생태계). 해양의 비생물적환경에 대하여는 해수의 온도, 염분, 유동, 혼합등 제조건과 해수중에 함유한 여러 종류의 유기 또는 무기화합물(특히 학양염류와 비타민류)의 농도, 해수중에의 광양광선의 투입(해중에서의 빛의 감쇠)등이 먹느냐 먹히느냐의 식물연쇄(또는 식물망)의 관계가 중요하다. 일반으로 외양 연안 내만 하구역(해수역)등으로 분할사용이 많다.
해역 (shore region)
해양환경의 생태구분중 제일 육지에 가까이 있는 부분, 즉 조상대, 조간대, 조하대를 합친구역을 말한다. 그 하한은 양광성해산식물의 생물한계가 되는 20∼60m이다. 육수,파장, 조석이 현저한 작용영향을 받아 영양염류의 풍부한 공급과 함께 일차생산이 성하다. 조양, 산호초가 발달한다. 복잡하고 특수한 환경에 적절하고 다양한 생물군집인 생활양식이 흥미롭다. 인위에 의한 환경파괴와 오염을 받기 쉽고, 그 피해가 근심사이다.
해연 (fore deep)
해구 가운데서 특히 깊게 움푹 패인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