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쇄박물관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인 『직지』하권 마지막 장에 "선광 7년 정사 칠월 일 청주목외 흥덕사 주자인시(宣光七年丁巳七月 日 淸州牧外 興德寺 鑄字印施)"라는 발간기록이 있어, 독일의 구텐베르그 성서보다 70여년이나 앞서 인쇄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으로 공인되었다. 그러나 흥덕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던 중 1985년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청동금구와 청동불발에 "서원부 흥덕사" 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어 이곳이 바로 흥덕사터임을 알게 되었다. 흥덕사지에는 총 12,400평의 면적안에 정면 5칸, 측면 3칸 겹처마 팔작지붕의 금당과 3층 석탑을 복원하였고, 2000년 6월 대규모 증축공사를 마무리했으며, 고서, 인쇄기구, 흥덕사지 출토유물 등 1,100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총 1,468평 규모의 지하1층, 지상2층 건물에 5개의 상설전시실과 1개의 기획전시실, 수장고, 도서관, 국제규모의 세미나실을 갖추고 있으며, 2001.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국가지정문화재 : 사적 제315호(1986. 5. 7 지정)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 홈페이지 : http://jikjiworld.cheongju.go.kr
국립청주박물관

우암산 동편에 위치한 국립청주박물관은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충청북도지역 문화유산의 보존·관리와 조사·연구, 전시·교육을 위해 1987년 10월 30일에 개관하였다. 이어 1998년 7월 우리의 전통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어린이 전시관을 마련하였다. 박물관은 19,225평의 대지에 한국적 미를 갖춘 1,838평의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넓고 쾌적한 야외공간이 있어, 시민들의 휴식처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8,600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4개의 상설전시실에는 구석시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 지역 출토품을 중심으로 2,300여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유적발굴조사를 통한 학술자료 발간 등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비롯하여 어린이 문화재그리기대회, 문화공개강좌, 박물관 공예교실 등 각종 사회교육과 홍보를 통해 지역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 홈페이지 : http://cheongju.museum.go.kr
청주랜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정서함양과 꿈과 희망을 주는 산교육장 활용에 목표를 두고 1988년 5월 10일에 개관한 우암어린이회관은 시설을 꾸준하게 확장하고 있다. 본관에는 자연전시실, 문화전시실, 북한관, 유아오락실, 컴퓨터실, 과학관, 입체영상관이 있다. 그리고 제1전시관에는 서구문화전시실, 어패류전시실, 광물류전시실이 있다. 또한 2000년 6월 김동섭 한국운석광물연구소장이 기증한 세계 희귀나비 및 곤충표본류 2,440점과 세계의 탈종류 700여점 및 수석, 광물류가 전시된 제2전시관과, 살아있는 나비를 관찰할 수 있는 나비생태관을 새로 개관하였다. 이외에도 미니기차, 우주전투기 등 유희시설이 있으며 주차시설도 대폭 확장하였다. 청주시는 공룡모형, 광물원석, 동물박제류 등 3,000여점을 전시할 제3전시관을 건립중에 있다.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71
- 홈페이지 : http://land.cheongju.go.kr
청주동물원

명암동 일대 132,111㎡ 부지에 조성된 청주동물원은 호랑이, 원숭이, 물범 등 포유류(32종 122수)와 독수리, 공작새 등 조류(44종 183수)를 입식하고 그 동안 동물의 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산 교육장으로 사랑 받아 왔다. 하지만 시설이나 규모면 에서 미흡한 점이 많아 2000년에 확장공사를 마무리했으며, 재두루미, 황새 등 58종 367수를 추가로 입식하여 세계적인 조류테마공원으로 가꾸어 나가고 있다. 그리고 주변의 남은 공간에 휴식시설과 배구장 등 놀이공간을 조성하고 있어 새로운 볼거리 제공뿐 아니라, 시민의 휴식처로 더욱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 위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224
- 홈페이지 : http://land.cheongju.go.kr
청주백제유물전시관

사적 319호로 지정된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큰 백제인의 무덤군에 세원진 전시관으로 청주신봉동백제고분군에 2001년 11월 건립되었다. 1982년부터 지금까지 6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3기의 석실분과 300여기의 토광묘, 목관묘가 다양한 부장품과 함께 발견되었다. 발굴당시부터 무덤떼의 규모나 다양한 매장양식이 큰 관심을 끌었는데, 발견된 부장품들도 당시 백제의 대외관계와 지방통치를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되었다. 전시관은 신봉동백제고분군을 중심으로 인근의 송절동·봉명동·명암동·가경동 유적과 청원의 송대리·주성리 유적을 포함한 청주의 초기 역사와 관련된 여러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고분축조과정과 기마·보명·농민상, 정북동토성 축조과정, 신봉동집터 모습 등 재현된 실물을 통해 당시 역사를 좀 더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1순환로 438번길 9
- 문의전화 : 043)263-0107
- 홈페이지 : http://www.cjbaekje.net
- 블로그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bkb21&logNo=50133075961
고드미마을

사한강 최상류에 위치한 고드미마을은 인근에서도 유명한 청정지역으로 친환경농업을 통해 생태환경을 잘 보전하고 있는 곳이다.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며 독립운동가였던 단재 신채호 선생의 고향이기도 한 고드미마을은 2003년부터 농림부의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선정되어 농촌의 전통문화와 농업의 가치를 전파하는 거점역할을 하고 있다. 전통문화체험, 농촌농사체험, 산림자원체험, 전통음식체험 등으로 구분한 1일과 1박 2일 일정의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모두 '내가 만든 자연밥상'으로 저녁식사를 하는데 표고두부전골과 솥뚜껑 감자전이 주요 메뉴이다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귀래길 236-37
- 문의전화 : 043)288-3651
- 홈페이지 : http://godmee.invil.org
말미 장터마을

가덕말미장터는 면의 중부에 위치하여 동은 수곡리 서는 청용리, 남은 보은군 회북면 신문리, 북은 인차리에 접해 있다. 말미장터마을은 본래 회인군 북면의 지역으로서 계산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문의군 동면의 인 차리 일부를 병합하여 계산리라해서 가덕면에 편입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약 200여년 가정절골이라 하였는데 가정절이 있었으며 중이 왕래 하였다하여 중고개라 칭하는 고개 가 있었고 고개마루엔 큰 노송이 있었다 하는데 이 노송을 계수나무라 불렀다 한다. 지금은 그 흔적조차 없으나 이로 인하여 계산리라 이름 지었다 전해진다. 현재 장터, 양지터를 1리로 가정동(가정절) 을 2리로 산적말을 3리로 분리하였으며 울창한 산림속에서 청정 공기를 만끽할 수 있는 등산로 걷기 체험, 그리고 자갈을 활용한 발지압로 등은 우리 마을 찾은 사람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자림매김할 것이다. 마을 주변에는 숙박업소가 있어 마을을 찾은 관광객들이 부담없이 즐기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안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계산1길 24-21
- 문의전화 : 010-9484-0636
- 홈페이지 : http://malmi.cheongju.go.kr
벌랏한지마을

대청호를 끼고 굽이굽이 돌고 돌아가는 길의 끝에 위치한 벌랏한지마을은 한지에 대해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농촌체험마을이다. '벌랏'이라는 지명은 마을 대청댐이 생기기 전 금강에 있었던 '벌랏나루'에서 유래한다. 닥나무준비하기, 한지뜨기 한지말리기, 한지공예품만들기 등으로 구성된 한지체험과 생태연못관찰, 반딧불이관찰, 별자리찾기, 야생화압화만들기 등 청정생태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1리9
- 문의전화 :010-9893-5152
- 홈페이지 : http://bulat.cheongju.go.kr
연꽃마을

연꽃마을에서는 유기농으로 직접 재배한 연꽃을 이용한 다양한 체험을 접할 수 있다. 건강에 좋아 최근 각광받고 있는 연꽃으로 특화되어 있긴 하지만 농촌에서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체험들도 계절별로 잘 갖추어져있다. 황토찜질방, 녹색체험관, 강당, 다목적 광장 등 단체관광객을 위한 시설이 구비되어 있고, 마을에서 재배한 연을 이용한 연잎밥, 연꽃지짐, 연떡국, 연칼국수, 연꽃차 연잎한과 등의 음식을 판매한다. 연꽃마을(궁현리)은 본래 청주군 서강내 이상면의 지역으로 지형이 활 같이 생겨 궁현이라 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삼국시대에 백제의 진자군이 왕의 명령을 받아 북방을 지키고있던 중 고구려 군사의 남침으로 격전을 벌이다가 패하여 활을 꺾어버리고 모습을 감춘 고개라 하여 활고개, 즉 궁현(弓峴)이라 불렸다고 한다. 은적산의 정기를 받은 연꽃마을(궁현리)는 강내면 남단에 위치하였고 초고속 산업문명의 발달로 작은 시골마을에도 공장들이 들어서고 도로가 확장되면서 시끄럽고 번잡하기 이를데 없는 이즘에, 전국 교통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으면서도 깨끗한 자연환경과 아름다운 농촌의정서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마을이다. 궁현리(연꽃마을)는 서기 1917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곤돌, 분토골, 방아다리, 부량을 합쳐 궁현리라 부르게 되었고 강내면으로 편입되었다.
- 위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궁현연꽃2길 33-6
- 문의전화 : 043)232-8400
- 홈페이지 : http://lotus.cheongju.go.kr
운교마을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산과 들이 어루어진 편안한 휴식공간 운교촌, 본래 청주군 산내일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운곡리, 석교리 일부를 병합하여 운곡과, 석교의 이름을 따서 운교리라 하여 미원면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운교 1,2리로 행정구역이 분리 되어있다. 마을 중앙에 거북이를 닮은 산이 있으며 순환형 임도가 있다. 큰골과 작은골로부터 Y자형 하천이 흐르고 있는데 이를 새천이라 한다. 절터골에서 흐르는 물과 새텃말에서 만나 소화천으로 흐른다. 운교2리는 전체 22가구에 55명이 거주하며 남자 31명 여자 25명이다.다양한 작목반을 구성 및 참여하고 있으며, 양채 작목반과 절임배추작목반은 미원면 전체 사업으로 운영하며, 절임배추 작목반은 운교 2리 마을 주민이 대표로 참여하고 있다. 주요 재배 작물은 배추, 벼, 고추이며 특히 배추는 전체 가구 중 12가구 이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운교길 70
- 문의전화 :011-9413-9398
- 홈페이지 : http://ungyo.cheongju.go.kr
갈뫼자연놀이학교

폐교된 초등학교를 개조하여 만든 갈뫼자연놀이학교는 어린이들을 위한 생태체험학습 공간이다. 자연과 어울려 놀면서 식물들을 이해하고, 동물들과 좀 더 친해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어 어린이들과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높다. 갈뫼자연놀이학교는 어린이들의 생태 학습을 위한 최고의 공간이다. 공해와 도시 생활로 갈수록 어린이들의 정서와 감정이 메말라 감에 따라 조금이라도 자연과 친숙하게 생활하고 자연이 주는 따뜻한 열매들을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그런 경험들은 우리 어린이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경험이다. 갈뫼자연놀이학교는 이러한 어린이 체험 학습을 위해 마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낭성산1길 20
- 문의전화 :043)221-7959, 0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