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고장의 역사

청주는 독일의 구텐베르그 성서 인쇄보다 70여년이나 앞선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직지심체요절』을 인쇄한 곳이며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서원향약을 제정한 곳이다.
아름다운 산수와 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청풍명월의 고장이며 학문과 예절을 중시하는 뿌리깊은 충·효·예의 고장이다.
우리고장 청주는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땅으로 백제가 강성해지자 상당현을 설치했고 군사의 요충지로서 많은 산성들이 축성되었으며, 소규모 취락이 발달하였으나, 변경에 위치하여 도시규모가 성장하지 못하다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자 국토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경덕왕 16년(795년)에는 서원경으로 불리우다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비로소 현재의 지명인 청주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선시대인 고종 건양 원년(1896년)에 실시된 13도제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충청북도에는 충주에 관찰사를 두게 되었으나, 그후 1905년에 개통된 경부선 철도는 청주 발달의 기회가 되어 마침내 1908년에는 관찰부가 충주에서 청주로 옮겨졌다.
1931년에는 청주읍으로, 1946년에는 청주부로 승격되고, 이때부터 청주부와 청원군은 독립된 행정구역이 되었으며, 1949년 부(府)가 시(市)로 개칭되었다. 그후 행정동의 분동, 청원군 일부지역의 편입을 거쳐, 1989년 7월에 출장소가 설치되고, 1995년 1월에 출장소가 구청으로 승격되었으며, 지금은 1946년 6월 1일 분리 되었던 청주·청원이 2012년 6월 통합이 확정되어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가 출범되었다.
청주의 역사
시대 | 명칭 |
---|---|
삼한시대(마한) | 낭자곡 |
삼국시대 | 상당현(백제), 서원(신라), 낭비성(고구려) |
통일신라시대 | 서원경(757년 경덕왕 16년) |
고려시대 | 청주(940년 태조23년), 청주목(고려 성종 2년 983년) |
조선시대(고종) 33년 1896년 | 청주군 |
1909년 6월 25일 | 청주면 |
1931년 4월 1일 | 청주읍 |
1946년 6월 1일 | 청주부 |
1949년 8월 15일 | 청주시 |
1963년 1월 1일 | 사주면 편입 |
1983년 2월 15일 | 강서면일원, 낭성·남일·강내면 각1개리 편입 |
1987년 1월 1일 | 강내면 정봉, 신촌리, 남이면 죽림리 편입 |
1989년 7월 1일 | 동·서부출장소 개청 |
1990년 8월 1일 | 청원군 남일면 장암리 등15개리 편입 |
1995년 1월 1일 | 상당·흥덕구청 개청 |
2012년 6월 27일 | 청주·청원 통합 확정 |
2014년 7월 1일 | 통합청주시 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