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무덤土壙墓

움무덤土壙墓는 땅을 파서 시신과 토기 등의 물품을 부장할 공간을 마련하고, 흙으로 덮어 마무리하는 무덤 양식입니다.
움무덤은 무덤 구덩이 내 시설에 따라 움무덤·널무덤木棺墓·덧널무덤木槨墓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움무덤은 무덤 구덩이를 파고 여기에 시신을 안치한 다음, 부장품 넣고 흙을 덮은 무덤입니다. 다른 널무덤이나 덧널무덤과 달리 무덤 내부에 별도의 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널무덤은 백제 움무덤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전체 움무덤의 중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널무덤은 무덤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시신을 넣은 나무널木棺을 안치한 무덤 양식입니다.
덧널무덤은 널무덤과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무덤 구덩이 안에 나무널 외에 이를 보호하는 나무덧널木槨을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무덤 내부에 나무덧널이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은 움무덤이나 널무덤보다 무덤 구덩이가 크게 만들어지고, 깊이도 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움무덤에는 시신과 함께 다양한 부장품이 부장되었습니다. 둥근밑단지圓低短頸壺·바리모양토기鉢形土器 등의 토기와 둥근고리큰칼環頭大刀·작은칼鐵刀子·도끼鐵斧·낫鐵鎌·화살촉鐵鏃 등의 철제기구와 귀걸이·구슬 등의 장신구가 함께 부장되었습니다. 크기가 큰 덧널무덤과 같이 일부 움무덤에서는 다양하고 질 좋은 부장품이 함께 확인되어 신분이 높았던 사람들도 움무덤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돌방무덤石室墓이나 돌덧널무덤石槨墓과 같이 신분이 높았던 사람들이 사용한 무덤에 비해 크기도 작고 부장품도 다소 빈약한 편입니다. 때문에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주로 사용한 무덤 양식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움무덤은 가장 널리 사용된 보편적인 무덤 양식이었습니다.

돌덧널무덤石槨墓

돌덧널무덤石槨墓는 직사각형의 무덤구덩이를 만든 다음 네 벽을 돌로 쌓아 돌덧널石槨을 만들어 시신과 부장품을 묻은 무덤입니다. 움무덤土壙墓에 돌을 활용하여 만든 무덤으로 움무덤과 같이 시신과 부장품을 묻을 공간을 마련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덤의 네 벽을 돌로 쌓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돌덧널무덤은 입구가 마련되지 않는 구덩식竪穴式과 한쪽 벽면을 입구로 사용하는 입구식橫口式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중 청주 신봉동 고분군에서도 돌덧널무덤이 처음 확인되었습니다. 2013년 제7차 발굴조사로 확인된 돌덧널무덤은 구덩식이었으며, 이제까지 청주 신봉동 고분군에서 움무덤과 돌방무덤石室墓 외 신봉동 사람들이 사용한 또 다른 무덤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돌방무덤石室墓

돌방무덤石室墓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땅을 파서 무덤구덩이를 만든 후 바닥에 강돌割石을 깔고 네 벽을 돌로 쌓아 방처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한쪽 벽면에 입구와 통로를 만들어 무덤에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무덤양식입니다. 돌방무덤은 입구를 통해 들어가서 널방玄室에 시신과 부장품을 껴묻은 무덤입니다.
돌방무덤은 입구와 통로墓道를 포함한 커다란 구멍을 파고, 평면 형태가 방형이나 장방형으로 일정한 높이까지 수직으로 네 벽을 쌓은 뒤 점차 안으로 들여쌓아 천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대체로 남쪽 방향으로 문을 내어 시신을 운반하였으며, 커다란 돌로 막아 쌓은 후 마무리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석실묘에는 널받침棺臺을 포함한 석실 바닥에는 강돌을 깔고, 널받침 위에 나무널木棺을 놓고 토기와 철기·장신구 등의 많은 부장품을 함께 묻었습니다.
돌방무덤은 4세기 중·후반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5세기 후반 백제가 수도를 웅진으로 옮긴 이후에는 지배층들이 주로 사용하여 백제의 대표적인 무덤양식으로 자리잡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