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꿈과 희망이 있는 곳! 우리들의 세상, 청주랜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꿈과 희망이 있는 곳! 우리들의 세상, 청주랜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파충류

센터소식 - 농업정보알림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제공
제목 관비 재배 시설애호박, 생육 단계별 양분 관리 기술 개발
부서 기술보급과(농업기술센터)
내용 농촌진흥청은 반촉성재배(보일러나 온풍기 등 열원이나 가습시설을 하지 않고 단순하게 비

닐하우스나 비닐터널 등만 시설하여 수확 시기를 조금 앞당길 수 있도록 재배하는 방식)하

는 시설애호박의 관비 재배(관수(물대기)와 시비(비료주기)를 동시에 하는 것으로 토양을

배지로 활용해 다량원소를 물과 함께 공급하는 재배법) 시 양분 흡수 양상을 분석해 생육

단계별 양분 관리 기술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시설 재배 작물에 대한 비료 사용량은 ‘토양 재배 기준’을 따랐으나, 관비 기

술 확대에 맞춰 관비 기준 양분 관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 생육 기간 중 시설

애호박의 질소, 인산, 칼리 흡수량은 토양 재배 시 질소요구량의 0.75배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분 흡수는 생육 초기에서 중기까지 활발한 반면, 생육 후기에는 줄어드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매로 이동하는 양분의 양이 급격하게 느는 시기는 열매가 달린 직후

이며, 작물 부위별 양분 함량은 열매, 잎, 줄기, 뿌리 순이었다.

이에 따라 관비 재배 시설애호박의 양분 흡수량을 고려해 생육 단계별 양분 요구량을 산정

한 결과, 1ha당 질소 172kg, 인산 133kg, 칼리 327kg으로 나왔다. 이번 양분 관리 기

술 개발로 질소 비료 사용량은 20%∼25% 줄고, 수량은 6%∼8% 늘었다. 또, 농가 소득은

7% 가량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하상건 연구관은 “시설재배지 관비 재배 양분 관리 기술을 이용하

면 생산량은 늘고 경영비는 줄어 앞으로 관비 기준 비료 사용량을 설정하는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라고 말했다.


출처 : 농촌진흥청
파일
이전,다음보기
이전글 곤충, 화장품·의약품 소재로 뜬다
다음글 광복 70년 소비자가 뽑은 생활 속 농업 기술 10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