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로 나누고 친절로 베푸는 행복한 용암1동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 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화를 말하며, 영산회상도는 그 중에서 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다.
보살사영산회괘불탱은 길이 6.13m, 폭 4.26m로 삼베 위에 그린 것이며, 붉은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녹색·황색 등 중간색을 넣어 밝은 화면을 보여준다. 남아 있는 글을 통해 조선 인조 27년(1649)에 경기도·충청도 등지에서 활약했던 신겸, 덕희, 경윤 등이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중앙에 앉아 있는 석가모니 본존불은 사각형의 얼굴에 이목구비가 근엄하고 엄격한 표정을 지니며 당당한 신체에서는 중후한 모습을 풍긴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모습이며, 오른손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하단의 8대보살, 중단의 10대제자 등은 석가불 주변을 빽빽하게 에워싸며 좌우대칭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
뛰어난 구도와 개성 있는 형태와 더불어 홍색과 녹색, 금색과 군청색 등 다양한 색채가 이루는 밝고 화려하며 선명하고 다채로운 색채의 아름다움은 영산회상(靈山會上)의 신비한 법열(法悅)의 세계를 잘 표현하고 있다. 또한 본존불의 얼굴이 또렷하고 신체가 당당하여 화면을 압도하는 듯하며, 선명한 색채·화려한 문양·석가를 둘러싼 무리들의 세밀하고 단아한 묘사로 당대 불화의 대표작으로 높이 평가되는 작품이다.
보살사 경내에서 1972년 발견되어 현재 극락보전내에 봉안하고 있는 병립여래상으로 화강암 하나를 다듬어 대좌와 고아배를 조성하고 그 안에 비슷한 크기의 여래 2구를 직신 정시의 입상으로 높게 부조한 것으로 매우 희뒤한 것이다.
나발의 머리에는 낮고 넓적한 육계가 표현되었고 코는 약간 마멸되었으나 미소를 띤입 과 어깨까지 닿은 귀는 잘 정제되어 있으며, 목에는 심도가 나타나 있고 전체적으로 원만 자비한 조각수법을 보여준다.
법의는 통견으로 옷주름이 굵게 표현?서으며, 양발은 모아서 전면을 향하고 있다. 좌상의 수인은 오른손으로 사무외안을 취하고 왼손은 복부의 결대에 대고 있다. 우상은 왼손으로 시무외안을 취하고 오른손으로는 복부에서 상장하여 쌍구형의 물체를 받들고 있다.
이 불상의 조성년대는 정제된 상호와 옷무늬의 수법 및 높에 부조한 조각수법 등으로 보아 통일신사시대인 8세기로 보인다.
이불상의 실축치는 광배폭 67m, 몸체높이 64m, 머리높이 16.5cm, 어깨폭 19cm, 대좌높이 9.5cm, 두께 12.5cm이다
보살사 극락보전 앞에 있는 이 5층석 탑은 2층 옥신에 [강희계미] 라는 음각명 이 있어 조선 숙종 29년(1703)에 건립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기단부터 상륜부까지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으며, 전체 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석탑 으로 조선후기의 석탑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이다.
지대석 위에 하대석을 대신하는 3단의 받침이 있고 그 위에 복연 화문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중대석 이 생략된 단층기단으로 볼 수 있다. 초층옥신의 각면에는 양우주가 각출되었으며 그 내면에 2개의 4각형과 내원을 음각으로 그 안에 범 자를 음각하였다.
초층 옥개석은 1매석으로 층급받침은 2단으로 표현되었고 전각부는 반전되지 않아 둔중한 느낌을 준다. 2,3,4,5층의 옥신과 옥개석도 모두 1매석으로 구성되었고 조각수법도 초층과 같다.
상륜은 5층 옥새석과 동일석으로 노반이 생략된 복발과 보륜, 그 위에 연봉이 장식되었다. 각부의 실측치는 전체 높이 348cm, 지대석 폭 170cm, 높이 7cm, 기단석 폭 143cm, 높이 55cm, 상륜 지름 25cm, 상륜높이 40cm이다.
보살사 극락보전은 조선중기의 목조건물로 조선 숙종 9년(1683)에 중 건된 후 수차례 중수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석으로 쌓은 2단의 기단 위에 자연석과 초창 당시 쓰였던 것으로 보이는 2단 원형주 초를 초석으로 이용하고 그 위에 원주를 세웠는데 각 기둥에는 중창의 흔적이 뚜렷하게 보인다.
우주는 평주 보다 굵고 높은 편이며 두공은 치밀하게 배치하여 조선중기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건물구조는 정면 3간, 측면 2간의 다포식 겹처마 맛배지붕 건물 로, 측면에는 풍벽을 달았다.
1991년 지붕을 보수하고 1992년에 산령각을 신축하였다.
지방의 선현을 봉향하고 자제들의 강학을 담당하기 위하여 창건된 신항서원은 조선 선조 3년(1570) 창건되어 경연.박훈.김정.송인수를 모시다가 인조 20년(1642) 개 건하면서 한충을 추향하고, 효종 1년(1650)에 송상현.이득윤을 추향하고 효종 7년(1656)에 이이.이색을 추향하여 현재 9분을 모시고 있다.
이때까지의 명칭은 유정서원이라 하였으며 헌종 1년(1660)에 사액되면서 신항서원으로 개칭하였다. 신항서원에서는 원생 30인과 자모생 30인을 뽑았으며 매년 음력 3, 9월 초청일에 제항하고 있다. 고종 8년(1871)에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가 고종 29년(1892)에 복구하도록 허가되어 광 무 9년(1904)에 복구되고, 1957년 지방유지들에 의해 재건되었다.
현재의 서원은 1987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간 측면 1간으로 된 맞배지붕의 단충 목조인 데 전면에는 약간의 공간을 두고 문은 모두 4분합문을 달았고 이 밖에도 강당과 삼문, 행랑이 있으며 건물주위에는 석축담장을 둘렀다. 또한, 서원마당에는 숙종 11년(1685)에 세운 신항서원묘정비가 있다.
것대산 봉수는 조선시대의 전국적인 봉수망 가운데 하나로 경남 남해의 금산봉수에서 출발하여 서울 남산에 이르는 중간 경유지이다.
남쪽으로는 문의 소이산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북쪽으로 진천 소울산 봉수에 연결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거차대 봉수라 표기되어 있다. 이 곳에는 별장 1인, 감관 5인, 봉군 25명, 봉군보 75명이 소속되어 교대로 봉역을 담당하였다.
이 봉수대의 정확한 설치시기는 알 수 없으나 봉수제도가 완비된 고려 시대부터 이곳에 봉수대가 설치되어 있었고, 고종 31년(1895)에 봉수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기능을 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 봉수지는 동서로 긴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둘레에는 방호벽을 둘렀던 흔적이 남아 있으나 봉돈시설은 현재 민묘 1기가 봉수대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어 확인할 수 없다.
1985년 12월 28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되었다. 청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용정동 선돌골 마을입구 논 한가운데 서 있는 불상이다. 네모난 돌기둥을 깍아 얼굴과 상체를 조각한 마치 석장승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표현도 거의 선각에 가깝다. 조성연대는 기록에 보이지 않으나 불상 아래에 '순치9년 11월 16일입'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조선 효종3년(1652)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마에는 큼직한 백호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눈썹은 길고 큼직하게 표현하였으며, 눈은 내려뜬 모양으로 눈두덩이가 도드라져 인상적이다. 코는 작고 짧막하며, 입은 반달모양으로 새겨 눈과 함께 얼굴 전체를 웃는 모습으로 만들고 있다. 입에 이어 턱과 뺨을 나타내어 얼굴이 납작하게 표현되었다. 양쪽의 귀는 조각되지 않았고 목은 짧으며 삼도가 없다.
얼굴에 잇달아 두팔을 수편되게 나타내었는데 두손을 모아 턱밑에 괴고 있어서 미숙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 아래쪽은 돌기둥을 그대로 노출시켰다. 규모는 전체높이 316cm, 머리높이 70cm이다. 이 분상으로 인해 이 근처 마을을 장승배기라 불렀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이것은 불상이면서도 마을의 수호신적인 장승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