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덕촌(德村)리

옥산면 덕촌(德村)리를 소개합니다.

위치

덕촌(德村)리 마을사진

덕촌(德村)리는 면의 최남단에 있으며 동은 오산리, 서는 강외면 쌍청리, 남은 강내면 석화리, 북은 환희리(환희리)에 접한 농촌 마을이다.

연혁

덕촌(德村)리는 본래 청주군 서강외이하면의 지역으로 큰 절이 있었으므로 ‘덕절’ 또는 ‘덕촌’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 무학대사가 지나다가 보니 동네가 응봉산을 주산으로 좌우로 산세가 뻗어 있고 앞은 부모산을 안산으로 자리잡은 동네로 조선의 도읍지로 정하려 했으며, 덕과 빛이 많은 인재가 배출될 동네라 하여 덕광촌이라고 하였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구동을 병합하여 덕촌(德村)리라 해서 옥산면에 편입되었다. 그 후 덕촌 3리까지 분구되었다.

자연마을

  • 띠실 : 옛날에 띠집이 많아서 지어진 이름.
  • 새말 : 625이후 마을이 생겼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 뱀내 남쪽에 있는 마을 .
  • 범절 : 옛날에 절이 있었다고 한다. 범의 허리에 해당하는 지역에 절을 져서 절이 없어졌다고 한다. 그 후 어떤 사람이 절터에 묘를 썼는데 자손들이 왔다가면 마을에 변고가 생기곤 했으며, 지금도 그 묘가 참나무숲속에 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 서신 : 뱀내 서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고 해서 지어진 이름.

기타지명

  • 불무골 : 팔모정 동남쪽에 위치한 들.
  • 고엽나무골 : 서촌에서 서북쪽에 있는 산골짜기.
  • 매봉산(응봉산) : 산의 모양이 매를 닮았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
  • 금당산 : 서주산업의 남쪽에 위치한 산. 지금은 동인상역이 들어섰다.
  • 절고개 : 덕촌에서 환희리 천래 넘어가는 고개.
  • 녹시레고개 : 서주산업에서 德村 넘어가는 고개. 녹시레라는 동네가 서주산업의 입구 에 있었으나 서주산업이 들어서면서 동네가 소실되었다.
  • 엉고개 : 덕촌에서 오산리 벌터 공동묘지 가는 고개.
  • 원주골 : 덕촌리의 북쪽에 위치한 골짜기. 오산리와의 경계.
  • 괴동앞들 : 괴동 앞에 있는 들. 새터와 괴동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 고추모퉁이 : 괴동과 서촌의 사이에 있는 모랭이.
  • 광촌앞 : 광촌 앞에 있는 들.
  • 반열앞들 : 반열 앞에 있는 들.
  • 보촌앞들 : 보촌 앞에 위치한 논이 많은 들.
  • 주판마루들 : 주판마루라는 둠벙이 있어서 지어진 이름. 보촌앞들 옆에 위치.
  • 멍텅구리들 : 멍텅구리라는 둠벙이 있어서 지어진 이름. 주판마루의 밑에 위치.
  • 화장이마들 : 멍텅구리들 밑에 있다.
  • 제지들(지들) : 옛날에 지들에 묘가 있었는데 그 묘를 실전하여 자손들이 지들에서 덕촌을 보고 절을 한다 하여 연유한 지명. 똘둑들 옆에 있다.
  • 돌둑들(똘둑들) : 도랑과 둑이 있어서 연유한 지명. 덕촌 앞에 위치.
  • 둠벙 : 예전에는 주판마루둠벙, 멍텅구리 둠벙이 있었으나 경지정리시에 소실되었다.
  • 원통리골 : 고엽나무골 위쪽 골짜기.
  • 가재골 : 괴동의 북쪽 골짜기.
  • 미평들 : 고속도로 서쪽에 위치한 미평 옆의 들.
  • 덕촌초등학교(구 덕신학교) : 약 90년전 河東정씨가 세운 초등학교. 신기에 있었으며, 현존하지 않는다.
  • 마을회관 : 노인회관을 겸해서 사용하고 있다. 신용협동조합 옆에 있다. 덕촌3구-미평 입구에 있다. 1993년 건립.
  • 덕촌신용협동조합 : 1976년 건립, 덕촌 소비자협동조합 앞에 위치.
  • 덕촌소비자협동조합 : 1991년 건립 도서관 옆 위치.
  • 덕촌도서관 : 광촌마을에 위치, 1993년 건립, 덕촌신용협동조합 맞은 편에 위치.
  • 덕촌리낙농조합 : 1991년 건립, 도서관 옆에 위치.
  • 덕촌어린이집 : 1991년 건립, 서촌에 위치, 덕촌교회 앞에 위치.
  • 덕촌교회 : 건립한 확실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100년 전쯤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다.
  • 서낭당 : 원주골, 녹시레에 있었으나 새마을 사업 때에 소실되었다.
  • 장승 : 보촌 옆 입구에 있었으나, 해방 후 소실되었다.
  • 상여집 : 원주골, 삼성골에 있다.

집성

덕촌(德村)리 河東鄭氏가 德村1, 2리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500여년(조선 초) 전 鄭光業이 낙향한 이래 후손이 세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