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로리볍씨를 만나보세요~!!

자연환경

> 농경문화관 > > 구석기사람과 먹을거리 > 자연환경
  • 구석기 시대의 한반도와 그주변
  • 해수면 변동은
    바닷물의 높이가 시간 및 장소가 달라짐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해안선은 높이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승과 하강을 하는 것이다.

    이런 변화는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며, 바닷가의 환경이나 살림뿐만 아니라 육지의 모든 환경변화를 제약한다.

    선사시대의 해수면 변동연구는 폭 넓은 의미에서 당시 해상을 통한 선사인의 활동 범위, 즉 바다를 통한 교류·이동, 육지와의 자원·문화요소와의 교환관계를 규정짓는 중심적인 분야라 할 수 있으며, 구석기·신석기 문화 발전과 변천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갱신세

이 시기는 구석기시대에 해당한다. Eemian간빙기는 12~13만년 전에 해당하며, 기온은 현재보다 3~4℃ 이상으로 세계적인 대규모의 해진(transgression)이 있었다. 대부분 해수면은 현재보다 최소한 3m 이상 높았으며, 경기만의 영종도(영종도층)나 김포의 조간대에서 현재와 비슷한 퇴적환경이 밝혀져 현재와 같은 바다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뷔름빙기(약 8만년전~1만년전 사이)는 주기적으로 빙한기와 빙온기 사이에 변화가 있었으며, 해수면이 가장 낮았던 최대빙하기(Last Glacial Maximum, LGM)에는 현재보다 -140m 정도이며, 시기는 18,000~14,000BP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 해당하는 식생도 강원도 속초 영랑호 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아한대 침엽수(가문비나무속·잎갈나무속·전나무속 등)가 우점종(優占種)을 차지하고 있어, 한랭 건조한 현상을 뒷받침해 준다. 또한 이 당시 해수면 저하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황해의 연륙을 비롯하여 베링해협이 드러나면서 생겨난 여러 대륙이 예가 되겠다.

한편, 황해의 수심 및 퇴적의 두께를 통해 마지막 빙기에서 후빙기 사이의 고해안선을 복원한 자료에 의하면, 15,000~13,000BP 사이가 가장 급속히 상승하고, 7,000BP 이후에는 이전 시기에 비해 매우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구석기 유적이 계단식 언덕(단구)에 발달하고 있으며, 황해안쪽에 가까운 평남 승리산유적·평양 만달리유적이 둘째 언덕 즉, 갱신세의 마지막 간빙기에 비정됨에 견주어 전신세에 형성된 첫째 언덕은 수몰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후빙기 초기의 중석기·신석기유적은 해수면의 급상승 속에 수몰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