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로리볍씨를 만나보세요~!!

옛집

> 농경문화관 > > 역사문화 농경 > 옛집
이항희가옥 신형호고가 노현리민가 부강리민가 과필헌고가 관정리민가
청주이항희가옥(淸州李恒熙家屋)
청주이항희가옥
  • 종목 : 중요민속자료 133호
  • 분류 : 가옥
  • 수량 : 1동
  • 지정일 : 1984.01.10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남일면 고은리 190
  • 시대 : 조선 철종
  • 소유자 : 이풍우
  • 관리자 : 이풍우
철종 12년(1861)에 지은 집이다. 안채를 비롯하여 사랑채·행랑채·광채·곳간채가 있다. 안채를 제외한 이들 건물들은 1930년대에 다시 지은 것이어서 안채에 비하여는 격조가 떨어진다. 집의 앞쪽에 一자형의 행랑채와 사랑채가 있고 안쪽에 ㄱ자형의 안채가 자리한다. 광채와 곳간채는 안채의 양 옆으로 각각 위치하고 있다.

행랑채는 왼쪽부터 측간·외양간·행랑방으로 배열되었고 오른쪽 끝에 대문이 있다. 사랑채는 행랑채의 오른쪽에 있는데 행랑채의 댓돌이 낮은데 비하여 사랑채의 죽담이 훨씬 높아서 사랑채가 우람하게 보인다. 사랑채 오른쪽은 언덕으로 연결되며 앞은 넓은 바깥마당이다. 바깥마당은 담장 없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큰사랑방·대청·건넌방이 배열되었으며 바깥마당쪽으로 툇마루를 놓았다. 행랑채의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사랑채를 경계하기 위한 담장이 축조되어 있고 그 사이에 작은 쪽대문을 설치하였다. 안채는 쪽대문을 통하여 출입할 수 있다. 이렇게 바깥마당과 가운데마당·안마당으로 구분을 지은 공간의 구성과 전개는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이다.

중앙에 있는 대청이 중심이 되는 안채는 활달한 구조를 하고 있다. 기둥 사이가 아주 넓은 반면 기둥 높이는 낮아 차분한 안정감을 주는 건물이다. 대청의 왼쪽으로 안방이 있고 안방 아래쪽으로 넓은 크기의 부엌이 있다. 골방과 건넌방은 대청의 오른쪽에 자리한다. 대청은 마당쪽으로 개방이 되어 있고 안방 앞의 툇마루를 통하면 부엌으로 동선이 연결된다. 사랑채 동쪽의 3~400년이 되는 회나무, 안마당 한쪽 화단에 심어진 모과나무·향나무 등은 전통적 민가의 정원기법에 따라 꾸며 예스러운 느낌이 들게 한다.

안채의 상량문(上樑文)에 「숭정(崇禎) 기원후 사신유(四辛酉) 오월 초삼일 진시(辰時) 입주상량(立柱上樑) 건좌손간(乾坐巽間)」이라 하였으므로 1861년에 지은 것임을 알겠다. 그러나 사랑채, 기타 건물은 1930년대에 지었지 않았나 추측한다. ㄱ자형집인 안채가 뒤쪽으로 앉고 안마당 앞에 행랑채가 一자형으로 놓였다. 행랑채 동쪽에 1간 사이하고 역시 一자형 사랑채가 배치된다. 사랑채 동쪽은 언덕으로 연결되며 앞은 넓은 바깥마당이 된다. 바깥마당은 담장 없이 외부로 개방되었지만 서쪽 측면에서 진입토록 계획되었다. 행랑채 동쪽 끝에 난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사랑채를 경계짓는 담장이 ㄱ자로 축조되어 조그만 중마당을 만들며 대문에 축을 맞춰 쪽대문이 만들어졌다. 안채 동쪽에는 곳간채가, 서쪽에는 광채가 세워졌다.

안채는 가장 평범한 중부지방의 민가 곱은자형 평면 구성을 갖는다. 서쪽 앞으로부터 부엌, 안방, 웃방, 꺾어져서 가운데에 2간대청, 건넌방의 차례로 배열된다. 그러나 부자집의 전형적인 것이어서 앞뒤 좌우 머릿퇴가 모두 있으며 부엌 측벽의 아랫퇴만 없다. 머릿퇴와 서쪽퇴에는 툇마루가 놓이고 동서 양쪽 모퇴에는 조그만 토광이 만들어졌는데 바닥에는 우물마루가, 벽은 판장벽으로 막았다. 부엌은 앞뒤간을 터서 크게 쓰며 부뚜막은 안방과 부엌사이 빈간에 시설되는데 상부에는 다락과 벽장이 만들어졌다. 안방은 웃방과 4짝미서기로 구분되며 안마당 쪽으로 겹창이 만들어졌다. 웃방은 대청과 4짝분합문으로 연결되며 뒷퇴 샛벽에는 세살 출입문이 달렸다. 이것이 양반가옥에서 가장 일반적인 창호형태이다. 대청은 전후퇴가 모두 틔였으며 가운데 앞 고주는 생략했지만 뒤의 고주는 그대로 박았다. 마당쪽은 개방되었고 안방 앞의 툇마루를 통해 부엌으로 동선이 연결된다. 건넌방은 측벽에 겹창을 둬서 머릿퇴로 연결시키며 뒷퇴에는 따로 골방을 두어서 대청으로만 통하도록 계획되었다. 건넌방 앞은 약간 디밀어 함실부엌을 만들고 상부에는 벽장을 달았다.

구조는 모두 2고주5량집으로 되었는데 대청 중앙만 1고주 5량으로 되었다. 정다듬한 외벌대 화강암 댓돌을 돌리고 낮은 덤벙주초를 놓아 네모기둥을 세웠다. 반깎기한 납도리를 돌리고 장혀를 겹쳤으며 보 밑에는 단이로 받쳤다. 그러나 고주가 들어가는 위치에는 조금 다르게 처리했다. 퇴보가 연결되어 단이처럼 대들보를 받치고 열십자로 거꾸로 사다리꼴의 단장혀가 맞춰지며 그 위에 헛창방이 보내진다.

헛창방 위에 다시 동자주를 세우고 중도리를 다른 도리와 같이 결구(結構)하는 것인데 말하자면 중도리 위치에 이중으로 헛창방이 가는 것이다. 종도리도 장혀만 받쳤으며 대공은 동자주꼴의 판대공이다. 특기할 것은 종보가 일반적인 집보다 휠씬 길게 처리된 것인데 이것은 지붕의 물매가 낮음을 의미한다. 대들보는 둥근꼴이고 종보는 모죽인 네모꼴이다. 이 모두가 민가의 가구수법(架構手法)을 보이고 있다. 지붕은 합각골기와인데 ㄱ자형 집이기에 합각이 3개 생긴다. 합각에 별다른 장식은 없다.

사랑채는 3간 전후좌우퇴집인데 사랑방, 대청, 건넌방으로 구성되고 앞퇴와 머릿퇴에 툇마루를 깔았다. 역시 뒤쪽 모퇴에는 장방(藏房)을 만들어 둔게 특이하다. 그러나 건축년대는 1930년대 정도인 듯 납도리의 장혀 밑에 소로를 끼우고 헛창방을 보내고 있다. 네모기둥이고 높은 주초에 자연석 난층쌓기 높은 댓돌을 썼으며 지붕은 합각골기와지붕이다.

행랑채는 맞걸이 3량8간집으로 동쪽으로 부터 대문간, 헛간, 작은구들, 큰구들광, 외양간, 잿간의 차례로 배치되었는데 그것의 이용은 약간 변형된듯싶다. 건축년대도 20세기 초 정도로 추측된다. 곳간채와 광채는 농가의 경영시설로서 20세기 중반 이후에 지은 것이다. 이 집의 가장 큰 특징은 외부공간의 구성과 조경이다. 바깥마당의 서쪽 측면에서 사랑채와 동쪽 곁의 회나무를 바라보면서 바깥마당에 이르고, 행랑채 동쪽 끝에 시설된 대문을 들어서면 가운데 마당의 아담한 공간을 감지하며 담장에 시설된 일각대문(중문)을 지나면 안마당에 들어선다. 큰 공간에서 작은공간, 다시 중간공간 이러한 공간의 구성과 전개는 율동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여기서 덧붙여서 사랑채 동쪽의 수령(樹齡) 3~400년이 되는 회나무, 안마당 한쪽 화단에 심어진 모과나무와 향나무, 뒤꼍의 감나무 등은 전통적 민가 정원기법에 따라 꾸몄으며 별다른 정원시설 없이 고졸한 느낌이 들게한다. 반간 크기의 고간(庫間)과 주위에 툇마루가 시설되었다. 마루방 뒤에 갓방이 놓이고 그 뒤에 다시 1간짜리 구들이 마련되며 가운데에는 뒤뜰과 연결되는 상하 2간크기의 부엌이 만들어졌다. 나머지는 모두 광인데 상부에는 부엌까지를 포함해서 넓다란 다락이 시설되었고 이것은 뒤툇마루에서 올라갈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이것의 구조는 대체로 사랑채와 비슷하나 특이한 점은 뒷퇴를 두지 않고 앞퇴만 두면서 7량으로 처리하고 이것을 굽은 부재(목량(木梁))를 이용하여 앞뒤지붕의 물매와 길이를 맞추고 있는 점이다. 또한 이때의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홍예보를 써서 2중으로 보를 걸치고 있는 것이다. 곧 장혀를 받친 종도리를 사다리꼴 판대공으로 종보 위에 얹었다.

종보는 중상도리와 맞춰지며 밑의 장혀는 중도리 사이의 홍예보 꼬리와 맞춰져서 무지개를 하고 중하도리와 머리를 맞추었다. 이때 중상도리는 위동자주로 받쳐서 대들보 위에 올리는데 대청 중앙이 아닌 경우, 뒤의 동자주는 앞뒤 대들보를 얹은 고주가 받쳤다. 고주머리는 가름장맞춤으로 뒷보를 끼우고 그 위에 대들보 꼬리를 긴장부로 끼워 맞추었으며 다시 앞중하도리는 홍예보와 맞추고 홍예보 밑바닥을 대들보 위에 얹었다.

앞중하도리 밑에는 장혀로 받치고 소로를 끼워서 뜬장혀를 보내고 무지개꼴 퇴(退)보의 꼬리와 맞추며 뒤중하도리는 짧은 동자주로 받쳐 뒷대들보 위에 올리고 뒷평주에 가서 평범하게 결구한다. 말하자면 상하중도리사이에 홍예보를 써서 2중보를 둔 것이 특이하고 나머지 기법은

사랑채와 같다. 조금 다른 점은 사랑채가 전체적으로 두리기둥을 쓴 반면 안채는 전면만 두리기둥이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이다. 행랑채는 맞걸이 3량 맞배지붕인데 북동쪽 끝부분만 작은 합각으로 처리했다. 평면은 전면 14간, 북쪽 날개 9간, 대문간을 포함해서 남쪽날개는 9간으로 이루어졌다. 솟을대문 옆에는 문간방이 마련되며 서남쪽 모퉁이에는 사랑채와 연결하는 중문간이 시설되었다. 나머지는 몇 개의 구들과 광간으로 만들어졌다.

사당채는 다시 안마당에 축을 직각으로 꺾어서 행랑채의 북쪽에 사랑채와 축을 나란히해서 배치되었다. 3간의 솟을 삼문을 전면으로하고 뒤로 3간의 사당채가 놓였다. 사당마당 서쪽에는 3간 제수(祭需)채로 구성되는데 제수채에서 사당채까지 ㄱ자로 꺾어진 복도채가 연결된다. 전면 삼문을 가운데로 하여 담장이 둘러쳐졌다.

삼문은 맞배지붕이며 3간 모두 대문을 시설했다. 사당은 전면에 분합문(分閤門)을 달고 합각지붕이며 마루를 깔았다. 제수채는 남쪽에 부엌을 두고 뒤로 2간구들을 놓았으며 구들 앞은 쪽마루가 시설되었다. 복도채는 벽과 지붕을 갖추어 비바람칠 때도 의례를 거행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였다. 이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시설물이다.

집은 안채와 사랑채 및 사당채의 세 공간으로 구획하여 내담을 둘러치고 이를 밖으로 다시 크게 둘러싸서 또 하나의 외담을 만들어 구획한 점이 특이하다. 특히 정원은 사랑채의 경우 전통적 맛을 잃지 않게 조성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1919~1921년 사이에 지어진 이 집은 전통적 건축기법에서 벗어나서 건물의 간살이나 높이 등을 크게하는 경향으로 변화를 보이던 시기의 대표적 지주계층의 살림집이라 하겠다.
신형호고가(申亨浩古家)
신형호고가
  • 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148호
  • 분류 : 고가
  • 수량 : 1동
  • 지정일 : 1985.12.28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가덕면 인차리 148-2
  • 시대 : 조선고종
  • 소유자 : 신기호
  • 관리자 : 신기호
조선 고종 18년(1881)에 지은 기와집이다. 본래는 안채와 사랑채·곡간채·뜰·아래채·마부채 등이 있었으나, 한말에 이 집에 살던 신정식이 의병에게 숙식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일본군이 불을 질러 지금은 안채만 남아 있다.

안채의 구조는 2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과 마루가 달린 건넌방을, 오른쪽에 부엌과 마루가 달린 안방과 웃방이 있다. 앞면 5칸·옆면 4칸의 ㄱ자로 되어있으며,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상세설명
신형호 고가는 조선 고종 18년(1881)에 지은 한옥이다.

본래는 안채와 사랑채 곡간채 뜰아래채 마부채 등이 있었으나 한말에 이 집에 살던 신정식(申正植)이 의병에게 숙식을 제공하였다는 이유로 일병(日兵)이 방화하여 현재는 안채만 남아있다. 안채의 구조는 2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과 퇴가 달린 건넌방을, 오른쪽에 부엌과 퇴가 달린 안방과 웃방이 있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ㄱ자로 되어 있으며 홑처마 합각지붕의 기와집이다.

독립운동가 신형호의 생가이기도 한 이 고가는 현재 신기호(申紀浩) 일가가 살고 있다.
청주노현리민가(淸州盧峴里民家)
  • 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220호
  • 분류 : 고가
  • 수량 : 3동(棟)
  • 지정일 : 2003.04.11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문의면 문산리 산6-1
  • 시대 : 조선시대 후기
  • 소유자 : 청주시
  • 관리자 : 청주시
이 민가는 조선시대 후기 건물로 문의면 노현리 이양훈(李讓勳)씨가 살던 가옥을 이축한 것으로 당초에는 강릉김씨(江陵金氏) 김승지(金承旨)의 종가(宗家) 댁이었다. 가옥의 구조는 안채가 ·ㄱ·자 형태의 목조와가(木造瓦家)이며 광채와 사주문(四柱門), 측간(厠間)은 목조초가이다. 광채는 ·一·자 집이다. 1993년 문의문화재단지가 조성되면서 현위치로 이전 복원하였다.

이 민가는 1980년 6월 전국 취락 및 전통가옥(민가)조사 기록대장에 의하면 약200년 전에 지었으며, 엄씨, 김씨가 살다가 연안 이씨가 입주후 이성훈씨가 살았다고 한다. 또한 조사 당시에 안채, 사랑채, 곳간, 축사 등 4채의 전통기와집이었다고 조사되어 왔다. 문의문화재단지가 조성되면서 이건하여 재건축되었으며 현재는 ·ㄱ·자형 안채와 ·1·자형의 대문간 및 곳간, 축사로 건축되어 있으며 사랑채는 건축되지 않았는데 이건하는 시기에 사랑채가 소실된 것으로 추측된다.

안채의 평면형식은 충청지역 민가의 특징을 갖추게 구성되어 있고 건축의 가구기법은 일반민가보다 세부분까지 정교하게 가공되었다. 또한 이전과정에서 안채의 지붕의 합각부분이 조금 높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의 평면형식은 충청지역 민가의 특징을 갖추게 구성되어 있고 건축의 가구기법은 일반민가보다 세부분까지 정교하게 가공되어 문화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청주부강리민가(淸州芙江里民家)
청주부강리민가
  • 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221호
  • 분류 : 고가
  • 수량 : 2동(棟)
  • 지정일 : 2003.04.11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문의면 문산리 산6-1
  • 시대 : 조선시대 후기
  • 소유자 : 청주시
  • 관리자 : 청주시
이 집의 안채는 조선시대 후기 건물로 부용면 부강리 김종철(金鍾喆)씨가 살던 고가를 이전 복원한 것으로 ·ㄱ·자집 형태의 목조기와집이다. 광채는 지붕을 앏은 판석으로 덮은 돌기와집(석와가(石瓦家))형태로 중부지방의 산골부락에 많이 있었던 형태이다. 가옥의 구조는 안채가 ·ㄱ·자형태의 목조와가이고 광채는 ·一·자 돌기와집이다. 1995년 문의문화재단지가 조성되면서 현위치로 이전 복원하였다.

1982년 전국 취락 및 전통가옥(민가)조사 기록대장에 의하면 1950년대까지 거주하였던 송동촌씨의 3대 선친이 건축했다고 전해지나 정확한 건립년대는 확인할 수 없다. 현재는 문의문화재단지 내에 ·ㄱ·자형 몸채와 대문채가 이건되었다. 그러나 1982년 조사기록대장의 사진에 의하면 대문간채가 없었으며 건물로 진입하는 입구의 방향도 사랑방쪽으로 배치되어 있어 현 상태와는 다른 분위기였을 것이다.

특히 집을 진입하는 방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문화재단지의 조성과정에서 원형대로 배치하기가 곤란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사랑방 쪽은 우진각 지붕이고 안방 쪽 날개채는 맛배집 형태이다. 건축의 형식은 일반 서민민가 중에서 전통 기와집의 형식이며 구조양식이 민도리 3량구조로 아담하고 소박한 민가 주택으로 문화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청주과필헌고가(淸州果必軒古家)
청주과필헌고가
  • 종목 : 시도민속자료 8호
  • 분류 : 가옥
  • 수량 : 3동(棟)
  • 지정일 : 1989.12.08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낭성면 호정리 27-1
  • 소유자 : 신오식
  • 관리자 : 신오식
과필헌 신후(1708~1779)가 지은 집으로 안채, 곳간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옆면에서 볼 때 지붕선이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며,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건넌방, 오른쪽에 안방과 부엌을 두었다. 안채 앞쪽에는 중문이 있는 곳간채를 두었고 사랑채는 앞면 6칸·옆면 2칸 크기로 팔작지붕이며 방과 부엌을 두었다.

우리나라 전통 한옥의 구조를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청주관정리민가(淸州官井里民家)
  • 종목 : 문화재자료 38호
  • 분류 : 고가
  • 수량 : 2동(棟)
  • 지정일 : 2003.04.11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문의면 문산리 산6-1
  • 시대 : 조선시대 후기
  • 소유자 : 청주시
  • 관리자 : 청주시
이 민가는 조선시대 후기 건물로 낭성면 관정리의 신방호(申邦浩)씨가 살던 가옥을 원래의 모습 그대로 이전 복원한 집으로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초가이다. 가옥의 구조는 ·一·자집 형태의 안채와 대문이 있는 광채가 있다.

상량문이 없어 정확한 건립연대는 파악할 수 없으나, 조선후기 건물로 추정된다. 현재의 건축은 1992년 문의 문화재단지를 조성하면서 1994년 관정리에서 이건(移建)하였으며, 당시 소유자인 신병호씨의 증언대로 5대조가 대대로 살아온 집이라고 하면 최소 200여 년 전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건축의 양식은 당시 부농의 주택으로 초가집의 가구구조보다는 건실한 부재를 사용하였으며 세부 치목 또한 매우 정교하고 평면구성도 5칸 집으로 전형적인 충북의 민가건축의 몸체 형식이고 대청에 신주를 모셔둘 신주 함을 만들어 설치하였다. 당시의 초가집에 비해 매우 건축적 특징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대문간채와 광채는 안채와 담장 사이에 대문간채가 따로 있었으나 이전하면서 대문간채를 별도로 건축하지 않고 광채와 같이 ·ㄱ·자집으로 건축하였다. 이는 문화재단지의 지형적인 조건에 맞추어 건축되면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부농의 주택으로 초가집의 가구구조보다는 건실한 부재를 사용하였으며 세부 치목 또한 매우 정교하고 전형적인 충북의 민가건축으로 당시의 초가집에 비해 매우 건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