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원청주 상생발전 합의사항 추진현황

청원청주 상생발전 합의사항 추진현황

벽화로 본 고구려인의 글쓰는 법 내용, 파일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벽화로 본 고구려인의 글쓰는 법
내용 고구려 벽화의 서사 장면을 분석해 고구려인들 이 글씨를 쓸 때 사용했던 용구 와 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나왔다. 고광의 원광대
강의교수는 한국고대사학회(회장 이문기) 주최로 지난 17일 한 국교원대에서 열린 눈문 발표회에서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서사 관련 내 용
검토'를 주제로 발표했다. 고교수는 "고구려 붓의 실물 자료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안악3호분.무용총.통 구12호분.덕흥리 벽화고분.지안 사신총
벽화에 그 형태가 비교적 정확히 묘사 돼 있다"면서 "붓의 기본 구조는 붓대와 필모로 돼 있으며, 종류도 붓대와 필모 가 길고 짧은것 혹은
두툼하고 가는 것 등이 다양하다"고 분석했다. 일례로 안악3호분 서측실 서벽 묘주정사도(墓主政事圖)에 등장하는 '기실(記 室)'이 오른손에
들고 서 있는 붓은 붓대와 필모의 길이 비율이 5.5:1 정도이 고, 붓대의 굵기는 필모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습을 띠고 있다는
것. 그는 평양 대성산성에서 발견된 금니불경을 통해 그 실체가 확인된 고구려 시 대 의 종이의 경우 "통구 12호분과 지안 오회분 4호묘
벽화에 회화용 종이 또 는 서적이 묘사돼 있어, 그림과 글씨에 전문적으로 종이가 사용됐음을 알 수 있 다"고 주장했다. 또한 고교수는 "최근에
고구려 목간이 발견됐다는 보고가 있다"면서 "간독의 사 용은 안악3호분.무용총.덕흥리 벽화 고분.지안 사신총 등에서 볼 수 있어, 고
구려시대에는 서사에 종이나 비단이 사용되기는 했지만 목간이나 목독이 여전 히 폭넓게 사용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어 고교수는 벽화에 나타난
특징적인 서사 모습들을 분석하며 "서서 쓰는 경 우는 요즘이나 크게 다를 바 없지만, 앉아서 쓰는 방법은 다소 생소한 모습들이 었다"며 특히
"지안 사신총 벽화에서처럼 왼무릎을 세우고 오른무릎은 자연스 럽게 앉아서, 간독을 쥔 채 왼손의 팔꿈치를 왼무릎 위에 가볍게 받치면 매우
편안하게 간독을 쓸 수 있다"면서 벽화의 정확성을 설명했다. 고교수는 또한 "고구려 벽화에는 당시 서사 관리들의 붓 사용과 관련된 특수한
습관이 반영돼 있다"며 "안악3호분과 무용총에 보이는 붓은 붓대가 점차 가늘 어지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한대 서사 관리들이 관모를 쓴 머리에
붓을 꽂는 습관에 영향 받은 것으로 당시의 서사 관리들은 붓을 머리에 꽂고 뭔가를 적 을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곧바로 붓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김경희 기자 kyunghee@yna.co.kr
파일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상생소통담당관
  • 담당자 : 부동원
  • 문의전화(043) : 201-1112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