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바구니물가정보

Cheongju City

분야별정보

장바구니물가정보

통계자료실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제공
제목 2017 한국의 사회지표
부서 정책기획과
내용 < 2017 한국의 사회지표 주요결과 >

1. 인구와 가구

○ 2017년 총인구는 51,446천명,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처음으로 많아짐
○ 2016년 1·2인가구 비중은 증가하고, 3·4인 이상 가구 비중은 감소함

2. 건강

○ 2017년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2005년(1.08명) 이후 다시 최저치임
- 총 출생아 수는 35만8천명으로 전년보다 4만9천명(11.9%) 감소
○ 2016년 신체활동 실천율은 전년보다 줄어들고, 비만 유병률, 음주·흡연율은 전년보다 증가

3. 교육

○ 2017년 고등학교 졸업자의 상급학교 진학률은 68.9%로 감소 추세
○ 저출산으로 인한 아동감소 등으로 10년 전 대비 2017년 초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8.4명 감소, 학급당 학생 수는 7.9명 감소

4. 노동

○ 2017년 고용률(60.8%)은 전년보다 0.2%p 증가하고, 실업률(3.7%)은 동일함
○ 2016년 근로자 임금은 335만원으로 전년보다 8만원 상승, 근로시간은 182시간으로 전년보다 2시간 12분 감소

5. 소득과 소비

○ 2017년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자산(3억8천2백만원)은 전년보다 1천5백만원 증가, 부채(7천만원)는 3백만원 증가
○ 2017년 소득과 소비생활에 대해 만족하는 사람은 각각 13.3%, 15.4%로, 2년 전 보다 각각 1.9%p, 1.5%p 증가

6. 주거와 교통

○ 2017년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전년보다 1.48%, 전세가격지수는 전년보다 0.63% 상승함
○ 2017년 승용차, 화물차 등 자동차 등록대수는 2,253만대로 전년보다 3.3% 증가
- 한 가구당 자가용 보유대수는 0.88대로 전년보다 0.05대 증가

7. 환경

○ 2015년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보다 증가
○ 우리정부의 환경계산은 200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예산 대비 환경분야 예산 비율은 2010년 이후 2%대를 지속적으로 유지(`15년 2.07%)

8. 안전

○ 2017년 태풍(13건)의 발생건수는 전년보다 감소하고, 호우(476건), 폭염(203일), 화재건수(4만4천건)는 전년보다 증가
○ 2017년 총 범죄 발생건수는 200만8천건으로 전년보다 0.6% 감소

9. 문화와 여가

○ 2017년 인터넷 이용률은 90%를 넘었고, 50대와 60대의 인터넷 이용률 크게 증가
○ 2016년 휴가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30대(80.4%)가 가장 많이 사용함

10. 사회통합

○ 우리 국민의 주관적 웰빙 인식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
- 2017년 삶에 대한 만족도(6.0점), 행복감(6.5점)에 대한 인식은 상승하고 걱정(근심)(3.9점), 우울감(3.2점)에 대한 인식은 감소
○ 2017년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본인세대는 소폭 증가했지만 자식세대는 감소
파일 첨부파일(hwp파일) 2017 한국의 사회지표.hwp2017 한국의 사회지표.hwp 바로보기
첨부파일(xlsx파일) 2017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표.xlsx2017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표.xlsx 바로보기
이전,다음보기
이전글 충북지역 2018년 청소년 통계 보도자료
다음글 2018년 3월 중 충청지역 산업활동동향 공표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경제정책과
  • 담당자 : 박용재
  • 문의전화(043) : 201-102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