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희
손병희(1861~1922)는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리에서 청주 관아의 서리인 손의조와 경주 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초명은 응구(應九) 또는 규동(奎東), 아호는 소소(笑笑), 도호는 의암(義菴)이다.
어려서부터 의기있는 남아로서의 품격을 갖춘 그는 사회제도에 불만을 품고 있던 중 1882년 22세 때 동학에 입교한 후 최시형의 수제자로 연성수도를 하였으며 1894년 동학혁명 때는 통령으로서 북접(충청 이북지방)의 동학혁명군을 이끌고 남접의 전봉준과 논산에서 합세하여 관군을 격파했으나 일본군의 개입으로 실패하자 교주 최시형을 호위하면서 원산, 강계 등지로 은신하였다. 이후 1897년 교주로부터 교통을 이어받아 3년 동안 지하에서 교세 확장에 힘썼으며 1901년 일본을 경유, 상해로 망명하여 이상헌으로 개명하고 중국의 손문과 국제정세를 논의하는 등 해외 문물을 접하였다. 젊은이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은 그는 1903년과 1904년 2차례에 걸쳐 학생 및 젊은 교도를 일본에 유학을 보냈다. 이때는 러·일전쟁이 일어난 해로 국내외 정세에 대처하기 위해 권동진, 오세창 등과 함께 진보회를 조직하고 이용구를 파견하여 국내 조직에 착수하였다. 이에 16만 명의 회원을 전국에 확보하고 이들에게 단발령을 내리는 등 신문화에 의한 신생활 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05년 이용구가 배신하여 친일단체인 유신회와 합하여 일진회을 조직하고 을사조약에 찬성하는 성명을 발표하자 귀국하여 이용구를 비롯한 친일분자를 출교시켰다. 이후 1906년 천도교로 개칭하여 제3세 교주로 취임하고 천도교월보(天道敎月報)를 창간하여 교세확장운동을 벌이는 한편 1909년 보성전문학교와 중학교,소학교 그리고 동덕여학교를 인수하여 교육사업에도 이바지하였다.
그는 항시 종교운동과 교육사업을 통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1919년 최린을 독립운동 추진 참모로 임명하고 민족진영, 종교계, 최남선, 송진우와의 제휴 및 학생층의 합류를 추진 3·1운동을 민족통일전선으로 완료하였으며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필두가 되었다. 3·1운동 직후 체포되어 3년형의 선고를 받고 복역하던 중 1921년 병보석으로 출감하여 상춘원에서 1922년 5월 19일 향년 62세로 서거하였다. 손병희가 태어난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리에는 1961년 그의 탄생 100주년 기념하기 위해 충북 문화재보존회에서 유허비를 건립하였으며 1971년에는 그의 생가를 복원 건립하였다.
또한 정부에서는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으며 청주시 우암산에 삼일공원을 조성하여 그의 동상을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