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형광등
형광등이란?
진공으로 된 유리관에 수은과 아르곤 가스를 넣고 안쪽 벽에 형광 도료를 칠하여,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조명하는 등, 진공 유리관 안에 형광물질을 칠하여 수은방전으로 빛을 발하는 조명장치
재활용 대상
형광등
| 구분 | 형태 | 설명 |
|---|---|---|
| 직관형 형광램프[FL] | ![]() |
유리관이 직관형태로 전체 형광등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사무실, 공장, 상가 등에서 주로 사용 규격에 다라 아래와 같이 구분 10W,15W,20W,32W,40W로 구분 |
| 환형(원형) 형광램프[FCL] | ![]() |
직관형 램프를 둥굴게 구부린 구조로 주택의 방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그 수요가 감소되고 있음 |
| 안정기 내장형램프[CFL] | ![]() |
콤팩트형 형광등에 시동과 안정된 동작에 필요한 모든요소를 일체화시키고 부품을 교환할 수 없도록 되어있는 형광등임 백열전구 대체 형으로 주로 사용됨 |
| 콤팩트형 램프[FPL] | ![]() |
한쪽 베이스의 형광등으로서 스타터가 내장하는것과 내장하지 않는것이 있는데 접합형태에 따라,P/D/T/W/M/G등으로 구분됨. |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종류
| 분리배출 해당품목 |
전구형 | LED Bulb형 램프 LED EL형 램프 LED MR16형 램프 |
|
|---|---|---|---|
| 직관형 | LED 직관형 램프 LED 일자형 램프 |
|
|
|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대상아님) |
평판형 | LED 평판조명 |
|
| 십자형 | LED 십자형 조명 |
|
|
| 원반형 | LED Ring형 램프 LED 다운라이트 LED 원형직부 조명 LED 센서조명 |
|
분리배출 이유?
형광등을 분리배출을 하지 않고 배출 시, 소각과 매립하는 과정에서 대기, 토양, 지하수 등으로 유출이 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특히, 형광등 속 수은은 가스 형태로 들어있어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인체에 노출될 위험이 큼.
분리배출을 통해 수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유리를 재활용 함.
배출방법
- 공동주택 : 공동주택 단지 내 설치한 폐형광등 수거함에 배출
- 일반주택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및 길거리에 설치한 폐형광등 수거함에 배출
- 대형건물 및 대규모사업장 : ㈜한국조명재활용공사(☎02·712·8190) (연면적 1,000㎡ 이상인 건물 및 1일 평균 300kg 이상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장)
※ 백열전구와 깨진 전등(형광등, LED전등)은 일반 생활폐기물로 배출하시기 바랍니다.
재활용 과정
-
분리배출 -
운반 -
형광등 분쇄 -
선별 (수은 포집) -
가열 -
부산물 포장
(유리 재활용)
수거 문의
- 상당구 : 201-5302(상당구청 환경위생과)
- 서원구 : 201-6306(서원구청 환경위생과)
- 흥덕구 : 201-7307(흥덕구청 환경위생과)
- 청원구 : 201-8306(청원구청 환경위생과)
![직관형 형광램프[FL] 사진](/site/www/images/contents/cts23184_img_01.jpg)
![환형(원형) 형광램프[FCL] 사진](/site/www/images/contents/cts23184_img_02.jpg)
![안정기 내장형램프[CFL] 사진](/site/www/images/contents/cts23184_img_03.jpg)
![콤팩트형 램프[FPL] 사진](/site/www/images/contents/cts23184_img_04.jpg)